여야는 14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악의 축' 발언에 대해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가 지지 입장을 표명했다'는 워싱턴 포스트지의 보도 내용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민주당은 이 총재의 방미 직후 부시 행정부의 대북 강경론이 제기된 점에 주목하며 연관성을 집중 부각시켰고,한나라당은 워싱턴포스트지에 정정보도를 요구하는 한편 여당의 공세를 '흠집내기'라며 일축했다. ◇민주당=이날 주요 당직자회의에서 "이회창 총재가 부시 행정부 고위인사들과 면담하고 난 뒤 늘상 '의견을 같이했다'는 발표가 있었던 만큼 외신보도가 사실과 다르다는 해명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좀 더 분명하게 해명해야 한다"는 입장을 정리했다. 한광옥 대표는 회의에서 "한반도 문제는 동북아 및 세계 정세와 밀접하게 연결된 만큼 생각나는 대로 불쑥불쑥 경솔하게 얘기하면 안된다"면서 "(이 총재 발언에서) 국익에 반하는 것이 있으면 적극 대응하라"고 주문했다. 이협 사무총장도 "예전엔 해외에 나가면 외교문제에 대해선 함부로 얘기하지 않았는데 요즘은 그게 다 깨진 것 같다"고 지적했다. ◇한나라당=남경필 대변인은 당직자회의 브리핑을 통해 "'악의 축'이란 표현은 방미중에 나온 일이 없고,이 총재의 '전략적 상호주의'와 워싱턴포스트지가 보도한 '엄격한 상호주의'는 전혀 다른 개념"이라 해명하면서 "워싱턴포스트지에 정정보도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보도가 오보라는 점을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야당 총재의 국익을 위한 방미외교를 폄하하는 것은 이 정권이 일관되게 해온 뒤집어 씌우기와 흠집내기"라며 여당에 직격탄을 날렸다. 이재오 총무도 "여당이 대정부질문을 통해 이 총재의 방미활동을 공격한다면 우리는 김대중 정부의 대미·대북정책의 총체적 실패로 인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맞불을 놓았다. 김형배·윤기동 기자 k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