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북한 재래식무기의 후방배치를 재차 주장,오는 20일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의 새로운 의제로 급부상했다. 부시 대통령은 지난 16일(미국시간) 아시아 순방길에 오르기 직전 기자회견을 통해 "북한이 북·미 관계 진전을 위해 대화를 원한다면 재래식 군비를 후방으로 물리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며 북한을 압박했다. 부시 대통령은 지난 1일 압둘라 요르단 국왕과의 회담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도 북한 재래식 무기의 후방배치를 강하게 주장했다. 북한의 재래식무기에 대한 부시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은 핵 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는 북·미간,재래식 무기는 남북간 현안으로 풀어간다는 기존의 '역할분담론'을 더 이상 인정하지 않겠다는 뜻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정부 한 당국자는 17일 "기본적으로 재래식 무기는 남북간에 논의할 사안이지만 미국도 3만7천명의 주한미군을 주둔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관심의 당사자이기도 하다"면서 "그러나 이 문제는 남북이 주가 되고 한·미간 공조를 통해 미국도 북한과 논의를 할 수 있다는 우리의 기본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햇볕정책의 추진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완화가 이뤄지지 않고 있음을 우회적으로 지적,우리정부를 압박하기 위한 발언이란 관측도 강하다. 이같은 상황에서 우리정부의 '역할론 지속'입장을 미국이 어느정도까지 '인정'해줄지는 미지수다. 북·미 대화의 재개에도 상당한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북한은 재래식무기를 뒤로 물리라는 요구에 대해 "무장해제를 하라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강력히 반발해 왔기 때문이다. 주한미군을 먼저 철수 시켜야 이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는 게 북측의 확고한 입장이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