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서 생화학 무기의 위협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북한으로 하여금 화학무기금지협약(CWC) 가입을 적극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가 제시됐다. 이서항(李瑞恒) 외교안보연구원 교수는 19일 발간한 `생화학무기 금지협약 이행동향' 제하의 연구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하고 "다른 미가입국의 가입촉구와 함께직접적인 북한의 화학무기 위협을 강조하는 등 2중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은 약 2천500t-5천t 규모의 질식.수포.혈액.신경작용제 등 다양한 종류의 화학무기를 보유, 미사일에 의한 공격능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말했다. 이 교수는 "북한이 CWC에 가입할 경우 이는 대량살상무기(WMD)의 하나인 화학무기에 대한 폐기 의사를 밝히는 것으로서, 남북한간 군사적 신뢰구축 및 군비통제 이행에도 크게 공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화학무기의 완전 철폐를 목적으로 지난 97년 발효된 CWC는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해 130여개국이 가입했으나 북한, 시리아 등은 아직 가입하지 않고 있다. 그는 이와 함께 "북한이 생물무기금지협약(BWC) 가입국임에도 불구하고 이 협약의 검증체제 강화를 위한 회의에는 참석하지 않아 이에 대한 국제적 관심촉구도 제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권경복기자 kkb@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