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올림픽] 선수 7명 '꼴찌탈출'만도 기적..한국 스키점프 8위 의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메달보다 값진 8위'
한국이 19일(한국시간) 열린 스키점프 K-120 단체전에서 8위에 올랐다.
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에서 13개국 중 꼴찌에 그쳤고 월드컵대회에서도 변변한 성적을 내지 못하던 스키점프가 한국 동계스포츠 사상 처음으로 설상종목에서 10위권에 진입하는 쾌거를 이뤄낸 것.
그것도 스키점프가 국내에 도입된 지 10년,국제규격의 점프대에서 훈련을 시작한 지 6년 만에 일궈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한국 스키점프의 현실을 들여다 보면 8위라는 성적은 한층 놀라워진다.
한국은 등록선수가 단 7명에 불과하고 그나마 국제대회에 출전할만한 기량을 갖춘 선수는 5명으로 후보선수까지 포함한 올림픽 국가별 쿼터(6명)에도 미치지 못한다.
일본만 해도 선수가 6백명이 넘고 웬만한 유럽국가가 1천명에 가까운 선수 중 6명을 엄선해 올림픽에 출전시키는 상황과 대조적이다.
한국은 이번 대회에 후보선수 없이 최흥철 최용직 김현기(이상 한체대) 강칠구(설천고) 등 4명만을 데리고 갔다.
한 명이라도 부상했다면 단체전에 출전조차 못할 뻔했다.
이같은 여건에서 선수들이 한마음으로 뭉쳐 기대 이상의 성적을 거둔 것이다.
선수 4명 모두가 점프대가 있는 무주지방 출신이었고 평소 형제처럼 지냈기 때문에 단체전에서 더 큰 위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장유택 기자 changy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