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로 발전노조 파업이 9일째를 맞은 가운데 발전회사 사장단이 이례적으로 협상 중단을 선언한 것은 발전 민영화에서 물러설 경우 공공 개혁의 근간이 흔들리는 사태를 용납하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명이다. 이제 사측은 '마지노선'을 그은 셈이고 노조가 극적으로 민영화 반대에서 양보를 하지 않는 한 공권력 투입 등 극한상황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사태가 악화될수록 '전력 대란'도 '우려'에서 점차 가시화 단계로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전력산업은 철도 가스와는 달리 이미 입법을 마친 만큼 민영화 포기는 곧 법을 어기는 것이라는게 사측의 입장이다. 사측은 이에 앞서 2백50명 안팎의 노조원을 고소하고 징계 절차에 착수했다. 정부와 사측은 공권력 투입을 통한 노조원 강제연행을 제외한 모든 수단을 동원한 셈이다. ◇ 전력공급 문제없나 =당초 이번 파업은 징검다리 연휴가 마무리되는 지난 3일과 월요일인 4일이 고비가 될 것으로 예상됐었다. 연휴에 이어지는 월요일에는 수요가 줄었다가 크게 늘어나기 때문에 노조원들이 빠진 발전소가 제대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그 이유였다. 현재까지 외견상 아무 문제가 없지만 파업이 더 길어지면 문제가 다르다. 현재 발전소 운전에는 조당 3백68명으로 구성된 3개조가 3교대로 근무중인 만큼 평소 정원 6백50명의 57%로 운영되고 있다. 평소에는 4조3교대 근무 형태였다. 이 때문에 전력 수요가 감소한 지난 3일에는 시운전중인 영광5호기의 출력을 93만㎾에서 62만㎾로 줄이고 울진 1,2호기도 각각 5만㎾씩 줄여 운전하고 정지 후 재가동이나 출력 조절이 어려운 화력발전소는 그대로 돌리는 파행 운영을 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전력 공급은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지만 원자력 무연탄 중유 LNG 등 값이 싼 연료 순서대로 먼저 운전하는 경제적인 전력 공급은 하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발전회사 관계자는 "한달은 충분히 버틸 수 있고 현재 투입된 대체인력 외에도 즉각 배치할 수 있는 인력 5백명을 확보하고 있어 한달이 지나더라도 견딜 수 있는 대책을 준비해 놓았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러나 대용량 발전기가 갑자기 멈추는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대응 능력이 평소에 비해 떨어지는 만큼 최악의 상황을 배제할 수 없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김홍열.주용석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