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수입철강 고율관세 부과로 연간 1억t이 넘는 공급과잉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세계 철강업계의 자율감산 이행여부가 더욱 불투명해지고 있다. 미국의 철강규제가 궁극적으로 공급과잉에서 비롯됐지만 유럽연합(EU) 일본 등 주요 철강수출국들이 생산축소보다는 보복관세 쿼터제도입 등으로 맞대응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철강업계 과잉공급 몸살='철강전쟁'의 주원인은 과잉생산이다. 미국이 수입철강에 고율관세 조치를 내린 것도 수요둔화와 과잉생산으로 철강가격이 20년만의 최저치로 떨어지면서 극심한 어려움에 처한 자국 철강업계를 살려보자는 취지다. 국제철강협회(IISI)에 따르면 지난해말 현재 전세계 철강업체들은 최대 생산능력의 77%만을 가동해 연간 8억2천7백만t의 철강을 생산했으나 시장에서 소화된 양은 7억2천2백만t이었다. 한햇동안 1억t 이상의 철강이 재고로 쌓인 셈이다. 일본 EU 등의 주요 철강업계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것도 물량과다에 따른 가격하락이 핵심원인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공급과잉 해소를 위한 협상을 촉구한 것도 이 때문이다. ◇감산합의 이행여부 불투명=지난해말 OECD 회원국의 38개 철강생산국가들은 오는 2010년까지 연간 철강생산량을 1억t 정도 줄이기로 합의했다. 물량조절로 가격을 회복,업계의 경쟁력을 강화하자는 '고육지책'성격의 합의였다. 그러나 대부분 전문가들은 미국의 고율관세 조치로 감산합의 이행이 더욱 불투명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일본 EU 등 주요 대미철강 수출국가들이 물량축소보다 역관세부과 등 보복대응으로 대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이들의 진단이다. 또한 EU 감산안이 '미국의 수입철강제한 철회'라는 단서를 달고 있어 미국의 이번 조치가 감산불이행의 빌미를 제공할 여지가 크다. 세계경제 회복세가 뚜렷해지면서 철강수요가 늘어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도 '감산의지'를 꺾을 수 있는 요인이다. 신동열 기자 shin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