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왜 강한가] (1) '엔지니어 이건희' .. '電子 마니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건희 회장은 일본 와세다대에서 경제학을,미국 조지워싱턴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했다.
하지만 엔지니어 만큼 전자제품에 대한 깊숙한 전문지식을 갖추고 있다.
그는 세계 어느 경영자보다 과학기술을 중시한다.
특이한 점은 이런 지식을 습득한 과정이다.
이 회장은 직접 전자제품을 분해해보고 궁금한 점은 전문가에게 물어가며 전자 기술을 터득했다.
파고 들어 알려고 하는 천착(穿鑿)습관이 전자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큰 도움이 됐다.
이 회장은 측근들에게 자신만큼 전자 제품을 많이 사 본 최고경영자는 없을 것이라고 말하곤 한다.
그만큼 해박한 전자기술을 갖고 있음을 뜻한다.
지난 87년 삼성전자가 메모리 반도체 역사의 전환점이 되는 중대한 고비를 맞았을 때 이건희 회장의 이런 자질이 힘을 발휘했다.
4메가D램 개발을 스택(stack:쌓는 방식)으로 할 것인가,트렌치(trench:파는 방식)로 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했다.
두 기술은 서로 장단점이 있어서 양산에 들어가기 전에는 어느쪽이 유리한 지 전문가들도 판단하기 어려웠다고 한다.
이 회장은 "이건희 에세이"에서 당시를 이렇게 회상했다.
"복잡한 문제일수록 단순화시켜야 한다.회로를 고층으로 쌓는 스택이 수월하다"
이 결정은 나중에 올바른 선택으로 판가름났다.
트렌치를 채택한 도시바가 양산과정에서 생산성 저하로 D램 선두자리를 히타치(日立)에 빼앗겼고 16메가 D램과 64메가 D램에 스택 방식이 적용됐기 때문이다.
지난 93년 미국 출장중에는 이런 일도 있었다.
이 회장은 호텔에 짐을 푼 직후 어디론가 사라졌다.
이 회장은 인근 백화점에서 일제 도시바 VCR을 사와 분해를 했다.
수행했던 이상익 삼성전기 기획팀장에게 이 회장은 이런 지적을 했다고 전했다.
"일본 제품의 부품수가 삼성 것보다 20% 가량 적은데도 비싸게 팔린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부품수를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래서 삼성이 개발한 VCR이 위너다.
이 회장은 제품에 대한 많은 아이디어를 냈다.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화면의 20%를 시청자들이 못본다는 얘기를 듣고 숨은 1인치 화면을 볼 수 있는 TV(플러스 원)을 개발토록 했다.
휴대폰의 센드 및 엔드 기능 버튼이 작은 것을 보고도 즉각 이를 시정토록 했다.
가장 많이 쓰는 단추가 왜 다른 버튼과 크기가 같고 밑에 있어야 하느냐는 지적이었다.
그래서 휴대폰의 센드와 엔드 버튼이 맨 위로 설계된 제품이 나오기 시작했고 이는 표준화로 이어지기까지 했다.
이 회장은 혁신적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선 고정관념을 깨야 한다고 주장한다.
어릴 적부터 장난감 동화 놀이속에서 과학을 생활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이 회장이 기술 다음으로 중요시하는게 디자인이다.
훌룡한 디자인 능력이 없으면 명품도 없다는 게 이 회장 생각이다.
기술이 받쳐주고 디자인이 따라주면 마케팅의 절반은 성공했다고 이 회장은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