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요 차단과 실수요자 우대를 골자로 한 '3·6 주택시장 안정대책'이 이번에는 어느 정도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분양권을 팔려고 내놓는 매물문의가 점차 늘어 분양권시장이 진정될 기미를 보이고 있다. 국세청의 세무조사 여파가 강하게 작용했겠지만 일부 아파트의 경우 가격이 분양가를 밑도는 사례까지 나오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도 정부의 이번 조치가 때늦은 감은 있지만 과열된 주택시장을 다소 안정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데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주택시장이 정부 의도대로 이상과열에서 정상화로 방향을 틀었다는 증거는 아직 찾아볼 수 없다. 상승추세가 주춤해졌을뿐 팔려는 사람과 사려는 사람 모두 극심한 눈치작전을 벌이고 있는 형국이다. 기존 주택시장에서도 거래가 거의 끊긴채 호가를 놓고 매수·매도세가 힘겨루기를 계속하고 있다고 현지 부동산중개업소들은 귀띔한다. 금리 물가 등 외부 변수와 정부의 추가 조치에 따라 주택시장의 향방이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일부에선 대부분 정부조치가 실시되려면 앞으로 한 두달 이상 남아 단기적으로는 오히려 과열을 조장하고 부작용마저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관련법을 개정해야 하는 분양권전매제한의 경우 빨라야 오는 6월부터 시행돼 그 이전에 나오는 물량 확보경쟁은 물론 기존 분양권값의 상승을 초래할 수도 있다. 6월이전까지 주상복합아파트 오피스텔 조합아파트에 대한 분양방식을 선착순에서 추첨식으로 바꾸지 않는 업체들에 대해 불이익을 준다는 것도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많다. 정부는 1997년 말 외환위기 이후 지난해 말까지 5년동안 빈사상태에 빠진 주택건설 경기를 살리기 위해 20차례 이상의 부양책을 시행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약발이 강한 대책을 내놓았음은 물론이다. 가장 빠른 시일안에 주택시장 안정대책이 효과를 거둘 수 있기 위해서는 정부가 반신반의하는 시장과 투자자에게 확실한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다. 많은 서민들이 추가적인 보완책이 나올 것을 기대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유대형 건설부동산부 기자 yoo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