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식회계 혐의로 징계를 받은 회계법인들은 15일 금감원의 조치에 대해 반발 수위를 높였다. 회계법인들은 이번 사태가 당장 회계업계의 판도에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향후 일어날 수 있는 파장에 대해서는 우려의 목소리를 나타냈다. 한국공인회계사회 관계자는 이날 "부의 영업권 환입문제는 2000년 결산감사 당시 지분법과 관련된 회계처리기준에서 환입기간의 최장한도만 정했을 뿐"이라며 "최저한도와 기간결정에 대한 세부기준이 명확히 규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발생한 일을 마치 거짓 회계장부를 꾸민 것처럼 발표한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각 회계법인의 입장이 다르기 때문에 회계사회 차원에서 대응하기는 어렵다고 전했다. A회계법인 관계자는 "억울하지만 고치라면 고친다"며 "하지만 기준이 모호한 상태에서 벌어진 일에 대해 회계법인이 지탄을 받아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회계처리의 '기술적인'문제이지 의도적으로 회계장부를 조작하는 '분식회계'는 아니라는 설명이다. 회계법인들은 법인 차원에서 정부에 대해 강경 대응하기보다는 일단 재심을 청구하고 기업이 제기하는 행정심판의 결과를 지켜본다는 입장이다. B회계법인 관계자는 "문제는 회계법인보다는 징계를 받은 공인회계사들"이라며 "이들은 자신의 명예회복을 위해 정부를 상대로 법정소송도 불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준영 기자 tetri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