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자동차 매각을 위한 본계약 타결이 임박했다. 대우차 채권단과 GM 양측은 지난 1월20일 배타적 협상시한을 넘긴지 2개월만에 핵심 쟁점들에 대한 원칙적 합의를 도출해 내는데 성공했다. 양측은 지난주 서울 힐튼호텔 등에서 마라톤 협상을 갖고 자산매각 가격과 우발채무 처리문제를 집중적으로 조율했다. 이 과정에서 산업은행은 '양해각서(MOU)의 골격을 계속 흔들면 협상 자체를 깰 수 밖에 없다'는 최후 통첩을 GM측에 보냈고 이를 어느 정도 관철시켰다. 이번 협상은 지난 2월6일 GM측이 대우차 해외법인의 대규모 부실을 이유로 인수범위 대폭 축소 우발채무에 대한 채권단의 포괄보증 자산인수대금 3억5천만달러 인하 등을 주장하면서 최대 고비를 맞았었다. 원칙합의 배경 =GM은 과거 제일은행식의 전면적인 '풋백옵션(손실 사후보장)' 도입과 대폭적인 가격 인하가 한국내 일반 정서에 맞지 않고 정부와 채권단의 입지도 약화시킬 것이라는 점에 주목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본계약 결렬이란 카드로 배수진을 친 채권단의 벼랑끝 전술이 현실로 연결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본 듯하다. 또 그동안 오랜 과정을 거치면서 많은 비용을 들여온 점과 대우차 인수가 전략적으로 반드시 필요하다는 판단 등도 협상을 타결시켜야 한다는 압박요인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 GM은 대신 제한된 범위이긴 하지만 우발채무에 대한 채권단의 사후보장 약속을 이끌어냄으로써 향후 대우차 경영의 불확실성을 어느 정도 제거했다. 또 신설 합작법인에 공동출자하는 채권단과 공고한 협력관계를 구축, 신규자금 지원 확대도 기대하고 있는 듯하다. GM은 또 어느 나라보다도 해외 자동차업체들의 진입장벽이 높은 한국시장의 특수성을 감안해 고압적이고 일방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향후 대(對)한국시장 전략에 결코 유리하지 않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남은 쟁점은 =GM은 당초 양해각서상 인수하기로 했던 24개 해외법인중 9개만 가져가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미국 판매법인을 인수하지 않는 대신 대우차를 GM브랜드로 미국에 수출하겠다는 입장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채권단은 이 부분에 대한 GM의 주장이 완강하긴 하지만 추가 절충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미국 판매법인의 경우 GM 브랜드와 대우 브랜드를 차종별로 교차 사용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대우차 노사문제를 둘러싼 쟁점 역시 타결여건이 성숙돼가고 있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노조가 요구하는 해고자 복직이나 부평공장 유지·발전 문제에 대해 GM이 보다 전향적인 자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채권단측은 보고 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GM이 올 상반기중 부평공장에서 출시될 소형차 '칼로스'에 좋은 평가를 내리고 있다"며 "부평공장의 가동률을 높일 경우 해고 근로자의 복직 여지가 생길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과정에서 채권단측은 GM과 노동조합간의 협상을 순조롭게 이끌기 위해 작년에 대우차 근로자들이 받지 못한 2백50%의 상여금중 일부라도 보전해 주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대우차 노조의 최종학 대변인은 "해고자 복직문제 등에 대한 방안이 나오면 5년 고용보장 등의 단체협약 개정문제도 보다 유연하게 접근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우차 노조와 GM측은 18일 김&장 법률사무소에서 만나는 등 이달중 서너 차례 면담을 갖고 최종 입장을 조율할 계획이다. 조일훈 기자 ji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