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경기 大예측] '올해 노사관계 어떻게 될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가시밭길을 어떻게 헤쳐갈 것인가"
연초부터 발전 철도 가스 등 공공부문 노조가 전격 파업에 나서는 등 노사갈등이 심상치 않다.
장기 파업에 돌입한 발전부문은 노사 양측이 한치의 양보도 없는 벼랑끝 줄다리기를 지속하고 있어 무더기 해고와 대규모 형사처벌 등 파국으로 치닫는 양상이다.
올 노사관계는 월드컵 등 대형 국제행사와 양대선거 등 정치적 변수에 따라 극심한 혼란에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민주노총은 노동운동을 정치투쟁으로 규정,노사분규가 격화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이럴 경우 회복국면에 접어든 경기와 외국인의 투자심리에 찬물을 끼얹지 않을까 염려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산업자원부가 작성한 "최근 노사동향 및 업종별 대응방안" 자료에 따르면 올 노사관계는 경기상승과 양대선거를 틈타 노동계가 정치세력화를 꾀하면서 매우 불안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불안 요인=무엇보다 구조조정에 대한 노동계의 반발과 경기회복 가시화에 따른 임금인상 요구가 거세질 전망이다.
민영화에 반발하는 공공부문 노조가 새로운 노동운동의 핵심세력으로 부상한 데다 상시 구조조정이 진행중인 섬유(화섬) 철강 등 민간부문의 노사갈등도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 한국노총 민주노총 등 양대 노총의 주도권 다툼이 격화되면서 개별 사업장의 노사분규를 부추길 공산이 크다.
산자부 관계자는 "주5일 근로제 도입과 근로시간 단축,비정규직 근로자 보호,필수 공익사업의 범위,직권중재제도 폐지 등이 주요 쟁점으로 부상할 것"이라며 "공공부문의 민영화 반대 파업으로 본격화된 노사갈등이 민간부문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산자부는 이에 따라 상반기 중 1백40개 세부 업종별 노동생산성 지수를 조사,임금협상의 참고자료로 제시하는 한편 분기별로 노사동향을 점검키로 했다.
업종별 전망=발전.가스 등 공공부문은 올 한햇동안 노사갈등이 가장 첨예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쪽이 양보한다해도 민영화의 불씨가 계속 남아있는 데다 해고자와 징계자 처리문제가 새로운 쟁점으로 떠오를 수 있다.
또 파업을 4시간만에 철회한 가스노조도 민영화 문제와 관련,재파업에 돌입할 가능성도 있다.
자동차의 경우 지난해 완성차 3사와 한국델파이 등 21개 부품업체가 분규에 휩싸였다.
올해는 완성차 업체에선 임.단협보다 주5일 근무제가 핵심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우차는 지난해 말부터 단협 개정교섭이 진행중이지만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
부품업체는 대부분 민주노총 금속노조 소속으로 상위단체에 통한 지역별 집단교섭을 요구할 전망이다.
기계는 비정규직 신분보장과 임금인상을 놓고 다소 불안한 양상을 띠겠지만 2백80억원의 생산 피해를 낸 작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철강은 과잉설비 감축 등 구조조정에 따른 분규의 소지가 있는 데다 한보철강 환영철강 등 매각업체의 고용승계가 부각될 수 있다.
중소업체는 산별 집단교섭을 통해 공동파업에 들어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조선은 올해에도 충분한 일감 확보와 수익증가 전망에 따라 다른 업종보다 안정된 모습을 보일 전망이다.
다만 수익증가에 따른 성과급 상향과 근로조건 복리.후생증진 등이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기능인력이 부족해 실업문제는 거의 없다.
섬유는 지난해 울산지역 화섬 3사가 파업에 돌입했지만 올해엔 태광이 민주노총에 탈퇴하는 등 기존의 강경노선에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따라서 극심한 분규는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구조조정과 관련된 불씨는 살아있다.
석유화학은 지난해 여천NCC의 파업 파장이 컸지만 노조원 규모가 작은 데다 다른 업종보다 근로조건이 좋아 대규모 분규 가능성은 낮다.
정한영 기자 c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