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테크노파크] 자금.연구공간.장비 일괄지원 .. '어떻게 도와주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지회사 연구원으로 10년간 근무했던 김모씨(37)는 지난해 퇴사했다.
사업 아이디어 하나로 창업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퇴사후 시간에 쫓기다 보니 막상 무엇부터 어떻게 손을 대야할지 갈피를 잡을 수 없었다.
갈핑질팡하던 김씨는 친구로부터 테크노파크를 찾아가 보라는 말을 들었다.
이곳에서 자세한 상담을 받고서야 창업의 길을 제대로 잡을 수 있었다.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한 그는 공해물질 처리기술을 통해 벤처기업가로 성공할 꿈을 키우고 있다.
김씨의 경우처럼 기술만을 갖고 벤처 창업을 목표로 한다면 전국 8개 테크노파크를 찾아가보는게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기술만으로 창업 가능성을 따져 거의 무료로 연구공간과 시설, 업무장비 등을 제공해 준다.
신기술 사업자로 지정되면 1억원까지의 자금도 받을수 있다.
교수 등으로부터 기술지도와 사업화 가능성을 진단받을 수도 있다.
자치단체의 각종 정책자금도 비교적 수월하게 지원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린다.
단 창업형 입주는 일정한 시기에 신청을 받기 때문에 해당 테크노파크에 미리 문의하는 것이 현명하다.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사업자는 테크노파크의 각종 장비를 활용해 봄직하다.
거의 최소한의 비용만 받고 고급 시험 생산 장비들을 대여해 주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거나 불량률을 크게 줄일수 있다.
기술개발을 위해 자금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테크노파크에서 기술개발 과제로 선정해 지원하는 사업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첨단 기술로 지원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면 업체당 2천만원씩 지원해 주기 때문에 기술개발 자금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부지런히 문을 두드려야 한다.
회사가 커지면서 체계적인 관리가 절실해지는 업체라면 교육훈련사업에 참가하면 된다.
송도테크노파크의 경우 지난해 주조기술교육, 산업기술향상세미나, 자동화교육 등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했다.
비용 부담이 적은데다 고급기술 교육으로 이뤄져 있어 종업원들의 능력향상을 위해 안성맞춤이다.
테크노파크 활용법은 이외에도 많다.
국제교류사업의 부산물로 해외 첨단기술이 도입될때 이전받을 수 있다.
대학과 연구소에서 개발한 첨단 기술을 제조업이 받는 기술이전사업에도 참가할 수도 있다.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기술지원과 경영컨설팅, 전자상거래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도 받을 수 있다.
송도테크노파크의 김문식 기획과장은 "대규모의 테크노단지가 하반기에 완공되면 시설도 커지고 사업들도 다양해져 업체들에 더 큰 혜택이 주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희영 기자 songk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