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파업의 장기화에 따른 노조원들의 무더기 미복귀에 대응해서 정부가 군제대인력 등을 활용한다는 대체인력투입계획을 마련했으나 현실적으로 임무수행능력이 극히 의문시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부는 경력직원채용 등으로 발전소 정상 운영에 문제가 없다고 설명하지만 일부 전문가들과 발전현장직원들은 대체인력의 현장적응력과 위기대응능력 등에 회의적인 시각을 감추지 않고 있다. 섣부른 군 인력 투입이 오히려 발전소의 정상운영에 차질을 줄 수도 있다는 지적마저 나오는 실정이다. 정부가 발전소 대체인력 투입을 위해 뽑은 군인력은 모두 4백1명. 이중 2백1명(공군 24명, 해군 25명, 육군 1백52명)은 지난 18일부터 충남 태안에 위치한 한전 발전교육원에서 발전소 현장 투입에 관한 실무교육을 받고 있다. 이들은 4주 교육이 끝나는 다음달 18일 이후 현장 근무에 투입될 예정이다. 2차 인력 2백명도 다음달 15일부터 교육에 들어간다. 4백1명 인원 대부분은 전역을 3개월 앞둔 '말년' 병장과 하사관들. 이곳에서 숙식을 해결하며 하루 8시간의 교육을 받고 있다. 발전소 운전 및 정비 분야에서 실무 경력을 가진 9명은 이미 일주일간의 교육을 마치고 현장에 투입됐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평소 발전회사들이 공채를 통해 뽑은 신입사원들조차 통상 9∼12주의 교육을 받고 현장에 투입되는 상황에서 군 인력들이 4주간의 단기 교육만으로 실질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지 의심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국방부는 이번에 선발된 인력 대부분이 석유, 화학, 시멘트 플랜트 운전 분야의 유경험자라고 밝히고 있지만 실제 발전기 운전 업무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또한 평소 20명 안팎의 소수 정예 강의가 진행된 것과는 달리 이번 교육은 일부 교수진조차 파업에 동참하고 있어 1백명의 대규모 인원이 한반으로 구성되는 등 파행적인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대해 산자부 관계자는 "일단 4주간의 교육을 마친 뒤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추가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혀 단기속성교육의 효과에 확실한 자신감을 갖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발전교육원 관계자도 "정식 직원으로 채용되는 것도 아닌데 대부분 전역을 3개월 앞둔 일반 사병들이 교육에 열의를 보이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