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가 우리나라 국가신용등급을 'Baa2'에서 'A3'로 2단계나 올린 것은 정말 반가운 일이다. 외환위기 발생 이후 처음으로,그것도 당초 예상보다 훨씬 빨리 A등급을 회복했다는 점에서 이번 상향조치가 갖는 의미는 각별하다. S&P나 피치 등 다른 신용평가기관들도 비슷한 조치를 취할 가능성 또한 높아졌다. 이로써 국내은행들이나 기업들이 해외에서 채권발행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때 부담하는 비용이 연간 약 10억달러 정도 경감될 것으로 추정될 뿐만 아니라 외자유치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정부의 국가신용등급 두단계 상향조정 요청에 대해 "국가신용등급은 일반적으로 한단계씩 올라간다"며 난색을 표시하던 무디스측이 전격적으로 입장을 바꾸게 된 것은 국제금융시장에서 우리나라 신용등급이 사실상 A등급으로 인정되고 있는 현실을 외면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는 그동안 우리가 기울인 구조조정 노력을 해외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국제사회의 거듭된 우려에도 불구하고 지지부진하기만 한 이웃나라 일본의 구조조정과 비교해 볼 때 상대적으로 우리가 돋보이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러나 국가신용등급이 A등급을 회복했다고 해서 우리 모두 긴장을 늦춰선 안될 것이다. 외환위기 발생전인 A1등급과 비교하면 아직도 두단계나 낮은데다 서둘러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우선 노사안정과 부실기업의 신속한 처리를 꼽을 수 있다. 민영화 방침에 반발한 발전노조 파업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는데다 오는 4월 초부터 민노총이 연대파업에 들어갈 예정이어서 이 문제를 신속하게,그리고 원만히 해결하지 못하면 모처럼 A등급을 회복한 국가신용등급이 언제 또다시 추락할지 모른다. 하이닉스반도체나 대우자동차 같은 대형 부실기업의 해외매각 문제도 서둘러 해결해야 하기는 마찬가지다. 이같은 사정을 감안하면 대통령 자문기구인 정책기획위원회가 국가신용등급 회복을 위해 경제성장지속 금융자율 기업투명성 부패추방 남북긴장완화 등과 함께 노사안정 및 부실기업 처리를 차질 없이 수행해야 한다고 보고한 건 너무나 당연한 지적이다. 1천억달러를 넘는 외환보유고와 건실한 거시경제운용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국가신용등급이 빠르게 회복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로 국내외 전문가들이 한결같이 노사불안을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을 노조측은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