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하자는 파업이냐'는 따가운 여론에도 불구하고 민주노총이 발전노조의 불법파업을 지원하기 위해 오늘부터 며칠간 산발적으로 산하 6개 연맹 18만여명을 동원하는 연대총파업을 강행키로 했다는 소식이다. 한달 이상 끌어온 발전노조의 파업만도 짜증나는 일인데 많은 생산현장과 공공서비스 부문까지 몸살을 앓아야 한다니 생각만 해도 답답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민주노총은 정부의 반응이 미온적일 경우 오는 9일 항공사 등을 앞세워 2단계 총파업에 나설 것이라고 위협하고 있는 반면 정부는 이번 파업도 불법으로 규정,엄단방침을 천명하고 있어 노정간 벼랑끝 대치가 위태위태하기만 하다. 우리는 민주노총이 원천적으로 노동쟁의의 대상이 될수 없는 발전소 민영화 문제와 관련해 총파업을 강행키로 한 것은 이성적 판단에 근거한 결정이라고 보기 어렵다. 특히 교단을 지켜야 할 교사들까지 거리로 끌어내고 경제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는 자동차회사들을 파업의 전면에 내세우겠다는 전략은 무책임한 처사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르게 된 데에는 노동운동에 대한 현정부의 온정주의가 한 몫을 했다는 것이 우리의 판단이다. 현정부의 노동정책들은 기업이나 사회 기득권층으로부터 때론'정체성'을 의심받을 정도로 한 쪽에 치우쳐온 게 사실이다. 민주노총과 전교조를 합법 노동단체로 인정해준 것도 현정부다. 그런데도 민주노총은 합법 노동단체로서의 책임은 외면한채 툭하면 총파업으로 밀어붙이려는 잘못된 습성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금은 국가신용등급이 97년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A등급을 회복하고 국민들은 경제 재도약에 대한 희망을 갖기 시작한 시점이다. 이처럼 중요한 고비에서 명분도 없고 여론의 지지도 못받는 극한투쟁은 실익은커녕 대다수 선량한 근로자들만 희생시킬 뿐이며 대외신인도를 떨어뜨려 그간의 경제회생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드는 중차대한 사태를 야기할 위험이 크다. 더구나 지금은 세계인의 축제인 월드컵을 바로 코 앞에 둔 시점이 아닌가. 민주노총은 즉각 연대파업계획을 철회하고 아울러 이번 사태의 발단이 된 발전노조의 파업도 중지시켜야 한다. 정부는 이번 파업을 계기로 전국의 사업장에 법과 원칙을 바로 세운다는 각오로 의연하게 대처하기 바란다. 급하고 어려울수록 원칙에 충실해야 한다. 지금 이 시점에선 정부의 단호하고도 엄정한 자세만이 사회적 혼란과 경제적 충격을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