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파업에 대한 노정 합의안을 타결짓고 총파업을 철회했던 민주노총이 합의안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임원진이 총사퇴키로 하는 등심한 내홍에 휩싸이고 있다. 민주노총은 3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회의실에서 투쟁본부대표자회의를 열고 전날 정부측과 타결지은 합의안을 놓고 발전 노조원들이 불만을 제기하는 등 논란이일고 있는데 대한 책임을 지고 총연맹 임원진이 전원 사퇴키로 했다. 사퇴안은 오는 8일 열리는 중앙위원회에서 처리될 것으로 보인다. 발전노조의 상급단체인 공공연맹도 이날 양경규 위원장이 사퇴의사를 밝힌데 이어 임원들도 사퇴키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따라 단병호 위원장이 수감중인데다가 허영구 위원장 직무대행, 이홍우 사무총장 등 현 집행부마저 물러날 경우 민주노총은 출범이후 최대 위기를 겪게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파업 돌입과 합의안 타결, 총파업 철회 등의 과정에 대해 민주노총내 강온세력이 심한 갈등을 빚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노선을 둘러싼 내분도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노총은 이와함께 이날 회의에서 노정 합의안을 거부하거나 폐기하고 정부가 발전소 매각을 강행하거나 노동계에 대한 탄압이 있을 경우 총파업 투쟁을 다시 강행키로 의견을 모았다. 합의안 폐기 결정과 관련, 노동부 관계자는 "이번 합의문은 발전노조가 상급단체인 민주노총에 교섭권을 위임한 상태에서 파업사태를 풀기 위한 노.정의 정치적,정책적 성격의 결단"이라며 "이미 지난달 8일 중앙노동위원회에서 단체협약과 동일한 효력을 지니는 중재재정 결정을 내렸기 때문에 법적인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만일 합의안에 대해 발전 노조원들이 찬반투표를 벌여 부결시키거나 노조 집행부가 서명하지 않더라도 큰 의미는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전날 노정 합의안과 관련, 민주노총과 공공연맹, 발전노조 홈페이지 등에는 이날 "상급단체가 조합원들의 투쟁열기를 뒤로한 채 민영화를 재론하지 않기로하고 노조원들의 신변보장 문제도 해결하지 못했다"며 지도부의 사퇴를 촉구하는 글이 잇따랐다. (서울=연합뉴스) 이성한 기자 ofcours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