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으로 인한 사회적 피해비용이 지난 99년 기준으로 연간 최고 60조원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한국의 반도체 수출액 24조5천억원(99년 기준)의 2.5배에 달하는 규모로 월드컵 상암경기장을 무려 3백개나 지을 수 있는 돈이다. 강광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박사는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 등 대기오염 물질로 인한 사회적 피해비용이 지난 99년 기준으로 연간 최저 32조원에서 최고 60조원(평균 45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8일 발표했다. 이는 99년도 경상 GNI(국민총소득)의 6.6∼12.5%(평균 9.6%)에 해당하며 인구 1인당 연간 67만∼1백27만원(평균 97만원)을 부담해야 한다는 의미다. 강 박사는 유엔환경계획(UNEP)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산출한 단위 오염물질당 사회적 비용과 환경부의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 자료를 토대로 대기오염에 따른 우리나라의 사회적 피해비용을 산출했다고 설명했다. 오염물질별 피해비용은 △황사 등 미세먼지 6조∼18조원(평균 12조원) △질소산화물 5조∼14조원(9조원) △이산화황 8조∼10조원(9조원) △일산화탄소 6조∼8조원(7조원) △휘발성유기화합물 7조∼10조원(9조원) 등이다. 이를 모두 합치면 최저 31조6천억원에서 최고 59조5천억원으로 평균 45조5천억원에 이른다는 것이 강 박사의 주장이다. 강 박사는 이번 조사에서 호흡기 질환을 비롯한 인체 피해 뿐 아니라 노동생산성과 농어업 생산성 감소, 구조물의 부식 등 대기오염으로 인한 사회 및 경제의 분야별 피해비용을 총체적으로 고려했다고 밝혔다. 유병연 기자 yoob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