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일부 의료기관의 인공수태시술 과정에서 '정자,난자 사고팔기'가 공공연히 이뤄지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이달중 정밀실태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복지부는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인공수태시술용 정자,난자의 유통 절차와 기준 등을 법제화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복지부는 오는 11일 의사협회,병원협회,대한산부인과학회,소비자보호원 등의 대표가 참석하는 전문가 회의를 갖고 현재 의료현장에서 벌어지고 있는 정자,난자 유상공여의 실상과 문제점을 파악할 계획이다. 현재 국내에는 대한산부인과학회가 인준한 92개 의료기관에서 인공수태시술이 이뤄지고 있으며, 지난 93년 의사협회가 제정한 인공수태 윤리 선언에는 이들 인공수태인준 의료기관이 매년 1차례 시술내용을 의협에 보고토록 규정돼 있다. 대한산부인과학회가 지난해 9월 발표한 '한국 보조생식술 현황'에 따르면 지난96년 8천694건(시술기관 35개소), 97년 1만6천622건(〃48개소), 98년 1만3천578건(〃49곳)의 인공수태시술이 이뤄졌다. 복지부 관계자는 "인공수태시술에 사용되는 정자,난자를 유상 공여하는 사례가 적지 않아 사회적 문제로 비화될 소지를 안고 있다"면서 "정부 차원의 안정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실태조사를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지난해 현재 국내 불임부부는 100만쌍 이상으로 추정된다고 복지부는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한기천기자 che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