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념 경제 부총리가 경기지사 출마를 위해 결국 사표를 냈다. 당장의 관심사는 후임 경제팀장.누가 되든 정책기조가 급변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현 정부의 임기가 10개월 남짓 남은 상황에서 새롭게 일을 벌일 여지가 없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정부 안팎에서는 이에 따라 "현 정책 기조를 흐트리지 않는 구도 내에서 후임 경제팀장이 임명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치에 종속된 경제=경제 팀장이 여당의 지방선거를 위해 전격 징발된 데 대해 경제계 안팎의 비판이 거세다. 모처럼 어렵게 회복한 한국의 대외신인도가 흔들리는 등 경제에 불안 요인이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아직도 경제가 정치에 종속돼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 셈이어서 선거철을 앞두고 외국인 투자가들의 한국 경제 신뢰도가 흔들리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진 전 부총리 자신이 누구보다도 이 부분을 우려해 왔다. 진 전 부총리는 최근 뉴욕 한국경제 설명회때 "경제가 정치에 흔들려서는 안된다"며 일관된 경제정책의 필요성을 강변했다. 이후 민주당에서 경기도지사 출마 요구가 있자 지난 12일엔 "진 부총리 사임시 해외투자자들이 김대중 대통령의 개혁 추진에 대해 우려할 것"이라는 내용의 블룸버그 통신 칼럼을 번역,언론에 보도참고 자료로 배포하기도 했다. 경제 수장의 정치 참여로 빚어질 수 있는 부작용을 우려,출마 요구를 우회적으로 사양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했다. 경제정책 기조는 유지될 듯=경기와 주가가 상승세를 타고 있고 수출까지 반전되는 상황이어서 현 정책 기조를 바꿀 만한 요인이 크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더구나 현 정권 임기를 볼 때 새로운 정책보다는 그간 일들을 마무리해야 할 시점이라는 점이 이같은 시각을 뒷받침하고 있다. 특히 최근 우리나라가 신용등급 "A"를 회복한 것은 현 경제팀이 기존 정책에 대해 국제 사회로부터 평가받은 것으로 볼 수 있어 급격한 기조 변화 가능성은 그만큼 적다는 분석이다. 재개 역시 "신임 부총리는 경제를 리드하기보다는 자율적으로 흘러가도록 관리하는 수준에 머물러야 한다"면서 "무엇보다도 정책의 일관성을 해쳐서는 안된다"고 주문했다. 늦어도 15일중 후임 인선=정권 임기가 10개월 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새로운 인물을 내세우기가 부담스럽고,정책의 연속성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후임은 현 정부 경제팀에서 장관을 역임했거나 현재 일하고 있는 사람들이 낙점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번 개각때 경제 부총리로 유력하게 부상했다가 막판에 "보물선 사건"연루 의혹이 터져 나와 낙마한 이기호 전 경제수석(전 노동부장관)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검찰 조사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고 김 대통령의 신임도 여전히 두텁다. 그러나 법적으로 무죄판결을 받았더라도 도덕적인 기준이나 야당의 공세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겠느냐는 의문도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다. 전윤철 비서실장은 기획예산처 장관으로 진 전 부총리와 호흡을 맞춰 왔기 때문에 정책의 연속성 유지라는 측면에서는 적임이라는 평이다. 그러나 비서실장을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청와대로서는 부담스러울 수 밖에 없다.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은 재무부 세제실에서 근무하다 한국투자신탁 사장,신용보증기금 이사장,산업은행 총재,금감위를 두루 거쳐 실물과 이론을 모두 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각 부처간 업무를 거중 조정하는 역할을 해 보지 않았다는 점이 약점으로 꼽힌다. 강봉균 한국개발연구원장(전 재경부장관)은 경제기획원 출신으로 김대중 정부의 두번째 재경부 장관을 역임했다. 기획력과 논리력이 뛰어나다는 게 주변의 평가다. 정덕구 전 산업자원부 장관,장재식 민주당 의원,한덕수 경제수석도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현승윤 기자 hyuns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