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지방정부의 한국기업 유치경쟁 현지 르포] 공장.폐수처리장 만들고 손짓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의 각 지방정부들이 한국기업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이들은 지방정부에 주어진 재량권을 활용,한국기업에 최대한 유리한 조건을 내걸며 유혹하고 있다.
일부 지방정부의 경우 대규모 투자유치단을 한국에 파견하는 등 "인해전술" 전략도 펴고 있다.
허베이성(河北省)의 탕산(唐山)시 정부는 최근 한국의 기업인 50여명을 본국으로 초청,투자설명회를 개최한 자리에서 난부(南堡)개발구에 1백만평(생활구 포함) 규모의 한국기업 전용공단을 조성한다고 발표했다.
탕산시 정부는 "염색.섬유공장 등 오염배출기업도 무방하다"고 밝혔다.
산둥성 지모(卽墨)시 룽취안전 정부당국은 한국경제신문사와 가진 현지 인터뷰에서 투자규모와 업종에 따라 토지임대료를 기준가격 대비 약 20%까지 깎는 혜택을 줄 수 있으며 추가 투자의 경우 최고 40% 할인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 옌벤조선족자치주지방정부는 난샹푸 주장(州長)을 단장으로 2백75명의 유치단을 15일 한국에 파견했다.
중국 칭다오(靑島) 공항에서 15㎞,칭다오 부두에서 40㎞ 떨어진 곳에 위치한 지모시 룽취안전(龍泉鎭)의 룽취안 공업원.
룽취안전 정부는 지난 3월 시작해 7월말 완료를 목표로 공업원 조성을 진행하고 있다.
단지 부지를 만드는데 그치지 않고 공장까지 완벽하게 건립하는 공사다.
외국기업이 보다 쉽게 진출할 수 있도록 공장까지 미리 지어주는 것이다.
공업원 크기는 4만8천여평.
결코 작지 않다.
그러나 외자를 조속히 유치하려는 욕심에 '속도전' 치르듯 공업원 조성에 나서고 있다.
후지쩌(胡基澤) 룽취안전 인민정부 부서기는 "3백50명이 동원돼 주·야간 쉴 새 없이 3교대로 작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룽취안전정부는 작년부터 대대적으로 공업단지 마련에 나섰다.
먼저 중국내 개인사업자에게 임대해 불과 10개월 만에 공장건물까지 갖춘 5만6천여평의 허산(鶴山)공업원을 만들었다.
이 업자는 토지와 부속공장을 재임대하는 방식으로 외국투자가를 유치할 방침이다.
두번째인 7만6천평 규모의 창광(場廣)공업원도 올해 7월말 준공을 목표로 공장을 건립중이다.
롱췐진정부는 이밖에 1백40만평 규모의 신산업공업원,36만평 규모의 솽룽(雙龍)공업원도 올해 착공할 예정이다.
후지쩌 부서기는 "룽취안전 땅 1천4백만평 가운데 4백만평 가량은 공업단지로 바뀔 것"이라며 "한국의 농산물가공,기계제조,의류,경공업 업체들이 입주하는 것을 대환영한다"고 말했다.
톈진공항까지 80㎞,베이징까지 2백㎞,탕산항구까지 75㎞ 걸리는 곳에 자리잡은 난푸 개발구.
지난 2000년부터 이 개발구를 조성중인 탕산시 정부는 작년에 1백10억원을 들여 하루 8만t 처리용량을 지닌 대형 폐수처리장을 만들었다.
개발구 주임이자 탕산시 인민정부 부시장인 주윈린(祝允林)씨는 "현재 입주해 있는 88개 기업의 하루 폐수방류량은 3만t에 불과하다"며 "기계 전자 가구 의류업체를 유치하려 하지만 오염유발업체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탕산시는 난부개발구까지 걸리는 시간을 현재 1시간50분 가량에서 40분 가량으로 단축하기 위해 펑난과 헤이엔즈를 잇는 30㎞ 고속도로 건설에도 착수했다.
또 다롄 칭다오 등을 연결하는 환발해만 순환도로도 만들 계획을 세우는 등 인프라 확충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지젠하이 공산당 탕산시위원회 부서기는 "개발구의 토지가격은 톈진의 10분의 1에 불과하다"며 한국기업의 투자를 호소했다.
이처럼 중국 지방정부들은 갖가지 유인책으로 한국의 기업들을 구애(救愛)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투자설명회를 가진 진화시 인민정부는 보유중인 1천2백억원(한화)의 재원을 활용,투자기업이 원할 경우 합작은 물론 대출도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양저우시는 1백만달러 이하를 투자하려는 기업은 협동조합을 결성,입주할 수 있으며 신기술산업분야의 경우 토지세를 일부 감면해주겠다고 제시했다.
푸신(阜新)시는 면세조건 확대 등의 '당근'을 통해 지난 11일 투자설명회에서 15개 업체로부터 5백8만달러어치의 투자를 확약받기도 했다.
중국 지방정부들의 경쟁적인 투자유치 작전은 무엇보다 중국의 경제발전이라는 목표에 따른 것이다.
여기에 더해 중국 중앙정부가 지방정부를 평가할 때 외자유치 실적을 가장 높게 쳐주는 점도 굼뜨기로 유명했던 중국 관료들의 발걸음을 분주하게 만들고 있다.
이에 호응해 중국에 진출한 기업들도 대체로 만족한 반응을 보였다.
난부개발구에 입주한 상림피혁의 박상우 총경리는 "한국에 있을 때에 비해 10% 가량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다"며 "2만여평의 부지를 더 확보해 신발공장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스포츠용장갑을 생산,미국에 수출하는 칭다오 따이에스포츠의 강수훈 총경리도 "중국 지방정부 관료들의 행정서비스는 1백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중국진출을고려중인 한국기업에 대해 "지방정부의 권한이 강하기 때문에 같은 법과 규정에 대해서도 유권해석이 크게 다르다"며 "급박하게 투자결정을 내리기보다 여러 곳을 비교 분석하는 치밀함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글=이성태 기자 ste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