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25일 "압둘라 사우디 아라비아 왕세자가 중동 위기와 관련해 석유를 무기화하지 않겠다고 확약했다"고 밝혔다. 부시 대통령은 이날 오후 향리 텍사스주 크로퍼드 목장에서 방미 중인 압둘라사우디 왕세자와 정상회동을 하고 중동 위기를 해소하기 위해 팔레스타인 당국은 테러 중단을 위한 조치를 강화하고 이스라엘군은 라말라, 베들레헴 등 팔레스타인 점령지에서 철수를 마무리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부시 대통령과 압둘라 왕세자는 동시에 현재 전쟁으로 고통받는 팔레스타인의 무고한 주민들을 위해 세계 각국은 인도적 지원에 적극 동참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함께 했다. 그러나 두 나라 지도자는 중동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평화와 안보가 보장되는 가운데 나란히 공존해야 한다는 원칙에는 합의했으나 미국의 친이스라엘 정책과 팔레스타인측의 자살폭탄 공격에 대한 입장 조율등 일부 쟁점을 둘러싸고 이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부시 대통령은 정상회담이 끝난 뒤 압둘라 왕세자가 참석치 않은 가운데 단독회견을 하고 "우리는 아랍국가들이 테러를 비난하고 선동과 폭력을 중단해야 할 필요성과 장기평화의 기반을 위해 이스라엘을 주권국가와 이웃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부시 대통령은 "압둘라 왕세자가 미국 시민에 대한 살인과 그 같은 살인행위를 저지른 자들에 대해 강력히 비난해 왔으며 오사마 빈 라덴이 얼마나 사악한 인간인지 이해하고 있다"고만 밝혔을 뿐 팔레스타인의 자살폭탄 공격에 대한 양국 입장을 전혀 언급하지 않아 주목을 끌었다. 이에 앞서 사우디 당국자는 압둘라 왕세자가 이번 부시 대통령과 한 첫 정상회동에서 이스라엘의 공격을 중단시키기 위해 미국이 이스라엘 측에 대해 더욱 강경한 입장을 취하도록 촉구할 것이라고 밝혀 이를 둘러싼 미-사우디간 입장 조율여부가 관심을 끌고 있다. 23일 방미길에 오른 사우디의 실질적 지도자 압둘라 왕세자는 블라디미르 푸틴러시아 대통령과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에 이어 크로퍼드 목장을 방문한 3번째 정상으로 26일에는 부시 대통령의 아버지인 조지 부시 전 대통령과 만난다. 이에 앞서 딕 체니 부통령은 24일 저녁 휴스턴 호텔에서 방미 중인 압둘라 왕세자를 위한 만찬을 베풀고 중동사태와 미국의 이라크 확전 향방 등 공동관심사를 폭넓게 논의했다. (워싱턴=연합뉴스) 김성수 특파원 ssk@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