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책 운용의 기본방향이 재정립될지 여부가 주목되는 한주다. 30일 열리는 '경제정책조정회의'가 당장 눈길을 끈다. 전윤철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장관 취임 후 처음 열리는 이번 회의에서는 거시경제정책 기조의 수정여부가 주요이슈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각종 실물경기지표를 면밀히 검토하는 한편 각계 의견을 종합해 정책방향을 정립하게 된다. 특히 이번 회의는 오는 5월7일로 예정된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두고 개최된다는 점에서 더욱 관심을 끈다. 정부 및 통화당국 일각에서는 인플레 차단을 위해 선제적 금리인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반면 재계는 수출 및 설비투자 회복기조의 불투명성을 들어 이에 반대하면서 논란이 가열돼 왔다. 이런 가운데 한국개발원(KDI)은 금리인상이 없을 경우 올해 성장률이 6%를 넘어서는 등 경기과열이 우려된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경기회복에 따른 점진적 금리인상 필요성을 제기한 상태다. 이같은 점들을 감안할 때 재정경제부가 기존 정책을 '미조정'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경기상황 변화에 따른 통화·금융정책의 탄력적인 운용 필요성을 확인하고 금리인상 시기에 대해선 금통위의 결정을 존중하겠다는 식의 입장표명이 있을 법하다. 이에 앞서 29일 발표될 '3월 산업활동동향'도 정책기조 변화여부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5월1일 산업자원부가 내놓을 '4월 수출입실적 잠정치'는 최근 경제 회복이 '식사'(민간소비)뿐 아니라 '운동'(수출 투자 등)이 곁들여진 건강한 모습인지를 가늠해볼 수 있는 잣대다. 하이닉스반도체 매각문제는 아직 진통을 겪고 있다. 29일로 예정된 채권단회의에서 미 마이크론측과 맺은 양해각서(MOU) 및 채무재조정 등에 대한 동의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신탁 등 2금융권의 반발을 무마할 수 있을지가 관심이다. 같은 날 '대한생명 매각심사 소위원회'가 열린다. 한화컨소시엄의 인수 적격성 심사가 통과될 경우 금주중 '공적자금관리위원회'를 통해 최종 결론이 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재계는 5월2일 금융·산업·기업부문 등에 대한 '차기정부 정책과제'를 발표할 계획이다. 출자규제를 완화토록 하는 등의 과감한 규제개혁 방안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주5일 근무제'와 관련해선 최근 노사정위원회에서 제시한 조정안에 대해 재계가 '수용불가' 쪽으로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져 노사정위가 당초 계획한 5월4일까지 합의를 이끌어내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종합주가지수 870선이 무너진 증시는 미국의 주가하락과 냉각된 외국인 투자심리 등의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당분간은 장세반전을 위한 계기를 찾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돼 조정국면이 좀 더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손희식 산업부 대기업팀 기자 hssoh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