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규모(the size of a market)는 광범위하지는 않으나 분명한 고객층이 있어 이 수요자들의 개성과 기호에 맞는 상품을 만들어낼 수 있다면 판로를 개척(open a market)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장을 흔히 틈새시장이라 한다. 예컨대 냉장고 같은 제품은 이미 하나의 커다란 시장을 형성하고 있어 엄청난 규모로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신세대 부부 혹은 독신자들과 같은 일부 수요층에서는 자신들만의 특수한 필요(needs)에 맞는 냉장고를 원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필요에 맞춰 제품을 출시할 수 있다면 소위 틈새시장을 만들어 낸 것이다. 틈새는 small opening(작은 공간)이나 rift와 같은 말로 직역되나 틈새시장이라 할 때는 niche market이라 한다. niche 그 자체는 집이나 방 안쪽의 움푹 들어간 곳(recess)이다. 이런 곳은 일반적인 수납장소(a place to put things away)라든지 기타 다른 용도로 쓰기에는 적당하지 않지만 촛불이나 꽃병 같은 것을 놓는다면 더할 나위 없이 잘 어울릴 수 있다. 촛불놓기에 딱 맞는 장소(a niche for a candlelight)처럼 뭔가를 하기에 안성맞춤인 장소가 niche다. I have not tried much for getting a job but I am sure I will find a niche for myself very soon(일자리를 구하려고 그다지 많은 노력을 한 건 아니지만 조만간 나한테 딱 맞는 자리를 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niche market은 다른 말로 표현하면 어떤 계층이 있어서 이 계층에 맞는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시장이다. a market for customized product라고도 한다. 양복을 재단하는 것을 tailor라 하며,고객의 신장 체격에 맞춰 개별적으로 옷을 재단하는 경우는 custom tailor라 한다. 따라서 custom-tailored product는 개별 고객의 특수한 필요에 맞추어 만들어낸 상품이 된다. 이와 반대로 일반 범용으로 만들어내는 mass product로서의 제품은 전체 고객의 평균 수치를 사전에 조사해 놓고 여기에 맞는 제품을 만들어 놓는 기성품이 된다. ready-made로서 주문이 있기 전에 미리 만들어 놓은 제품에 고객이 자신의 필요를 맞추는 방식이다. 다른 말로는 off-the-rack product. If you want to make money in this market, just tap into an audience niche and develop the right marketing strategy(이 시장에서 성공하고 싶으면 일단 고객이 필요로 하는 것을 파고들고 정확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 네오퀘스트 제공 www.neoqst.com ] ----------------------------------------------------------------- < 메모 포인트 > 타깃 고객층 targeted customers 특정 고객의 필요에 맞춘 제품 tailored products 맞춤 제작 customization 기성품 off-the-rack products=ready-made goods=manufactured goods 틈새시장을 개발하다 crack a niche 미개척시장 a potential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