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06.04.02 13:25
수정2006.04.02 13:28
한국노총 산하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 독자적으로 주5일 근무제 도입을 추진키로 해 다른 단위 사업장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금융노조의 요구가 관철될 경우 대다수 대기업들이 금융노조의 경우를 모델로 올해 임단협시 주5일 협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노사정위 협상 결렬 이후 노동계 일각에서 예상한 단위 사업장별 주5일 근무제 도입 확산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금융노조가 제시한 안이 노사정위 조정안보다 더 강경해 협상타결까지는 난항이 예상된다.
이용득 금융노조 위원장은 29일 기자회견을 갖고 "최근 주5일 근무제 도입에 관한 노사정위 협상이 결렬됨에 따라 금융권 단독으로 임단협을 통해 오는 7월1일부터 주5일 근무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처럼 금융노조의 주5일 근무제 도입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은 조합원들 대부분이 일정수준 이상의 소득수준과 학력을 가지고 있어 "삶의 질"과 "자기계발"에 대한 욕구가 다른 업종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
이날 은행 대표측과 금융노조 대표가 가진 임단협 1차 대표자 교섭은 양측의 입장과 주장을 확인하는 선에서 끝이 났다.
이 자리에 참석한 은행관계자는 "자동화기기와 인터넷뱅킹의 확대등을 감안할 때 주5일근무제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라며 "하지만 기업활동을 보조하는 것이 금융권의 역할임을 생각할 때 은행이 기업보다 먼저 주5일 근무제를 실시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밝혔다.
노사정 합의 없이 금융권이 먼저 주5일 근무제 도입의 "총대"를 매는 데에도 일부 금융관계자들은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금융부문 구조조정 이후 정부측의 눈치를 살피지 않을 수 없다"며 "일단 시간을 끌면서 노측과 세부사안에 대해 조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금융권이 토요일 휴무에 들어가면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일반 사업장들의 주5일 근무제 도입이 활발히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은행이 쉬면 자금결제가 어려워 업무에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금융권의 주5일 근무제 도입이 그리 순탄치만은 않을 전망이다.
주휴유급제와 연월차휴가 등 금융노조의 주5일 근무 관련 제시안이 노사정위 조정안보다 훨씬 강경하기 때문이다.
금융노조는 우선 사용자측에 주5일 근무제 도입을 강력히 요구한뒤 협상에 진전이 없을 경우 5월말 쟁의행위 찬반투표에 이어 월드컵 개막일에 맞춰 총파업을 포함한 총력 투쟁을 벌여 나가기로 했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