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중 수출이 14개월만에 처음으로 전년동기 대비 증가세로 돌아섰다. 이는 그 사실 자체만으로도 반가운 일이지만 경제전반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본다면 그 의미는 매우 크다. 그간 부양책에 힘입어 내수소비 위주의 회복을 보여온 국내경기가 수출증가로 인해 더욱 본격적인 상승국면으로 접어들 가능성이 높아졌고,제조업가동률 향상과 투자촉진으로 이어진다면 성장내용의 건실화도 기대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2일 청와대에서 김대중 대통령 주재로 경제부총리를 비롯한 관계장관과 유관기관 및 업계대표들이 참석하는 무역투자진흥 확대회의를 서둘러 개최한 것도 그같은 기대를 현실화시키기 위한 노력의 하나라고 본다면 시의적절한 처방이 아닌가 싶다. 특히 이날 산자부가 '새로운 수출 패러다임'이라고 제시한 고품질·고가화, 신기술상품의 수출역량 강화,국가별 무역균형화 등은 새롭다고 할 것까지는 없지만 우리가 풀지 않으면 안될 숙제임이 분명하다는 점에서 이를 달성키 위한 노력을 게을리해선 안될 것이다. 우리는 지난 4월 한달의 수출이 오랜만에 증가세로 바뀌었다고 해서 결코 안심할 일은 아니라고 본다. 수출증가율 9.7%는 아직도 한자릿수에 머물고 있는데다 지난해 같은 달의 수출실적이 의외로 저조해 증가율이 계산상으로만 높게 나온 기술적 요인도 없지 않기 때문이다. 더구나 최근들어 미국경기가 주춤거리는 양상을 보이고 있고,달러약세 기조 등으로 원화의 평가절상이 이뤄지고 있어 수출가격경쟁력의 약화 가능성도 여전한 점은 큰 부담이다. 수출회복의 견인차라 할 수 있는 반도체 가격이 4월들어 약세로 반전되고 있는 등 해외시장 여건이 오히려 악화되는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 점도 가볍게 보아넘겨선 안된다. 아직도 수입증가율이 수출증가율을 훨씬 웃돌고 있는 점또한 유념해야 할 일이다. 1년6개월만에 열린 어제의 무역투자진흥 확대회의에서는 조세감면 및 금융지원 확대 등 수출촉진을 위한 각 부처의 다양한 지원책이 제시됐다. 그러나 무역규모가 3천억달러에 육박하는 세계 13대 교역국으로 발돋움한 우리 경제가 일시적인 캠페인이나 정부지원책만으로 수출이 늘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정부는 기업들이 마음껏 창의를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충분히 조성해 주고, 기업은 적극적인 기술개발과 원가절감 등을 통해 상품과 서비스의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것만이 수출을 늘리는 유일한 해법이란 사실을 새롭게 인식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