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委 민간위원장에 강금식씨 선출.. 민간위원들 '쿠데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하이닉스반도체 이사회의 "반란"에 이어 공적자금관리위원회도 민간위원장을 선임하면서 정부 방침에 반기를 들었다.
특히 공자위원회는 공적자금 집행과 회수를 최종적으로 추인,결정하는 반민반관(半民半官)의 기구여서 앞으로 위원회 운영에도 파란이 우려된다.
공자위는 3일 강금식 성균관대 교수(61.기존 위원)를 새 민간위원장으로 전격 선출했다.
정부가 앞서 이진설 서울산업대 총장을 공자위 민간위원장으로 내정해놓은채 새 위원으로 위촉했는 데 이를 뒤엎은 것.이 위원은 청와대 경제수석 등을 지낸 전통 경제관료출신으로 골치아픈 공적자금 문제에 대해 전임 박승 위원장(한은총재)의 뒤를 이어 정부와 교감이 잘 될 것으로 본 재정경제부는 당황한 표정이 역력하다.
모두 5명인 공자위 민간위원들이 이날 위원장을 선출하는 조찬간담회에서 "반란"을 했다.
정부는 이전부터 민간위원들을 상대로 정부가 내정한 이 총장의 위원장 선임을 종용했으나 민간위원들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 공자위는 정부와 민간의 2인 위원장 체제로 운영된다.
정부에서는 전윤철 경제부총리가 당연직으로 위원장.민간 위원장은 민간 위원끼리 호선(互選)한다.
재경부 관계자는 "민간 위원장도 정부측 위촉위원이 맡아야 한다는 생각에서 그동안 이 위원을 밀었다"며 "그러나 민간 위원들의 결정을 받아들여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 민간위원은 "정부관계자가 여러차례 전화를 걸어 위원장 선출건을 부탁했었다"며 "공적자금운용을 감시감독하기 위해 만든 기구를 정부마음대로 하려는 데 쐐기를 박은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민간위원들이 "몽니"를 부린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평가도 내놓는는다.
이 위원 내정에 반발,강 위원을 선출했지만 특별히 나은 선택이라고 보기 힘들다는 것.강 위원은 성균관대에서 경영학을 강의하고 있으나 87년 평민당 창당발기인 88년 13대 의원 91년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등 정치경력이 화려하다.
특히 강 위원은 민간위원 중 여당 추천 케이스여서 정부측 입김을 배제하겠다는 민간위원들의 행동이 설득력을 갖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이런 파장이 벌어지자 이 위원은 간담회 도중 퇴장,사임 의사를 밝혔다.
박수진 기자 parks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