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청와대 및 당 인사들과 관련된 각종 의혹이 전방위로 제기되자 "철저한 검찰수사를 촉구한다"는 그동안의 원칙적 입장표명도 없이 대응을 삼갔다. 특히 대통령의 3남 홍걸(弘傑)씨가 어머니 이희호(李姬鎬) 여사의 부탁으로 포스코 유상부 회장을 만나 벤처사업을 모색했다는 의혹과 김옥두(金玉斗) 의원의 파크뷰 아파트 3채 특혜분양 의혹 등에도 침묵을 지켰다. 민주당은 또 "밀항 대책회의가 수 차례 있었다"는 등의 최규선(崔圭善)씨 주장이 담긴 육성테이프 녹취록이 공개됐는데도 아무런 논평이나 성명도 발표하지 않았다. 민주당의 이러한 무대응 전략은 김 대통령의 탈당과도 관계가 있지 않느냐는 분석이다. 대통령의 탈당을 계기로 권력형 비리의혹과 당 사이엔 관계가 없다는 점을 인식시켜 나가기 위한 `절연' 전략이 아니냐는 것. 실제로 정범구(鄭範九) 대변인은 7일 오전 한 라디오 방송에서 한나라당 남경필(南景弼) 대변인과 설전을 벌이는 와중에 남 대변인이 비리의혹 공세를 펴자 "민주당과는 무관한 만큼 청와대나 정부에 알아보라"고 받아넘겼다. 정 대변인은 이날 고위당직자회의를 마친 뒤 `집권여당의 자격이 없어졌으나 원내 제2당의 위치에서 입장발표가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기자의 물음에 "의혹이정당하게 제기되면 검찰의 성역없는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게 우리당의 입장"이라고만 말했다. 그러나 갓 출범한 한화갑(韓和甲) 대표체제가 첫 단추인 지명직 최고위원 인선문제로 불협화음이 생기면서 후속 당직인선마저 늦춰지는 등 '전열'이 채 정비되지 못한 것도 한나라당 공세에 적극 대응하지 못하는 요인의 하나로 지적된다. 한 대표는 회의에서 "모두 대표를 차지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했는데, 대표가 비서 한명 임명할 권한이 없다"면서 "일을 속전속결로 처리해야 하는데 앞으로 당을 어떻게 운영할지 캄캄하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강원기자 gija007@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