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석재(咸錫宰.충남 천안을) 의원의 전격적인 자민련 탈당은 동요기미를 보여온 자민련 일부의원들의 연쇄탈당을 예고한게아니냐는 점에서 파장을 낳고 있다. 자민련은 함 의원이 평소 과묵한 성격인데다 당에 대한 애착이 남달랐다는 점에서 위기감을 느끼는 표정이고, 민주당은 한나라당의 원내 과반의석 확보 가능성과탈당이 함축하는 정치적 의미 때문에 크게 반발하는 분위기다. 이에 비해 한나라당은 "우리당과는 무관한 얘기이며 원내 과반을 채울 의사가없다"고 역풍 차단을 위한 해명에 주력했다. 함 의원의 탈당은 단순히 자민련 의석이 1석 줄어드는 데 그치지 않고 현재 자민련 내부 사정을 감안할 때 6.13 지방선거를 전후해 언제라도 연쇄 탈당사태가 일어나 당이 와해될 가능성을 보여준 상징적 사건이라는 데 의견이 일치한다. 실제 자민련 일각에선 S, L, L, J, O 의원 등의 탈당설이 나돌고 있어 "자민련붕괴가 현실화되는 게 아니냐" "한나라당이 양대 선거를 앞두고 자민련 궤멸작전에돌입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이들이 지방선거 전에 움직일 가능성은 높지 않으나 언제든 탈당을 결행할 경우민주당보다는 한나라당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중론이다. 양대 선거에서 충청권 패권을 놓고 일전을 벌일 주체는 자민련과 한나라당이 될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자민련 김종필(金鍾泌.JP) 총재의 `복심'으로까지 불리던 김용환(金龍煥) 의원을 비롯, 강창희(姜昌熙) 의원, 김고성 이원범 이상만 이대엽 김칠환 김문원 전의원도 이미 한나라당에 입당했다. 또 이원종(李元鐘) 충북지사가 최근 한나라당으로 말을 갈아탔고, 김현욱(金顯煜) 전 의원도 자민련에서 탈당한 뒤 한나라당 입당을 타진중이다. 그러나 한나라당 남경필(南景弼) 대변인은 "우리당과는 무관한 일이며 무리하게국회 과반의석을 확보할 뜻이 없다"고 거듭 해명했고 함 의원과 동향인 서청원(徐淸源) 대표도 "그분이 입당할지는 아는 바 없다"고 무관함을 주장했다. 김무성(金武星) 후보비서실장도 "설사 입당한다 해도 최소한 지방선거전까진 막아야 할 입장"이라고 차단막을 치기에 바빴다. 그간 민주당 노무현(盧武鉉) 대통령후보의 정책구도로의 정계개편 주장을 `인위적인 의원빼가기' 의도라고 비난해온 입장에서 역풍 가능성을 우려한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자민련 입당파인 김용환(金龍煥) 의원은 "우리와 뜻을 같이 한다면 지방선거 전이면 어떻고, 후면 어떠냐"면서 "미국으로 출국한 함 의원이 입국하는 대로만나 입당 의사를 타진하겠다"고 밝혔다. 다른 충청지역 의원도 "입당하면 막을 도리가 없다"며 "자민련에서 적어도 3-4명 정도가 더 오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한나라당내 양 기류가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자민련 의원들이 6.13 지방선거 전까지는 줄줄이 탈당, 한나라당에 입당하는 사태가 없더라도 지방선거에서 자민련이 참패할 경우 `탈당 도미노'가 현실화돼 정계 지각변동을 촉발할 가능성은 여전히 높다.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 후보가 한때 노 후보의 정계개편론에 맞서 거론했던 `역 정계개편'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이 경우 노 후보의 민주개혁세력 통합론에 근거한 정계개편 구상에 어떤 영향을미칠지도 주목되는 대목이다. 그러나 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주당 이인제(李仁濟) 의원의 지원아래 충청권을 사수하고 박근혜(朴槿惠) 미래연합 창당준비위원장을 아우르는 보수연대를 진척시키려던 JP의 구상이 결정타를 맞은 것은 분명해 보인다. cbr@yna.co.kr (서울=연합뉴스) 조복래 추승호기자 chu@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