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의 4천t급 구축함 시대가 열렸다. 해군은 22일 오전 경남 거제도 대우조선 옥포조선소에서 장정길 참모총장을 비롯, 해군 및 조선소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형 구축함 KDX-Ⅱ 1번함인 `충무공 이순신함' 진수식을 가졌다. 이날 위용을 드러낸 `충무공 이순신함'은 1년 정도의 운용시험을 거친 뒤 내년말께 해군에 인도, 전력화될 예정이다. 특히 `충무공 이순신함'을 시작으로 앞으로 건조되는 전투함에는 여군 전용침실및 화장실 등 별도의 주거공간이 마련돼 해군 여군의 승조가 가능해진다. 그동안 여군들은 지난해 최초로 군수지원함과 구조함에 한해 승조한 바 있다. 4천t급인 `충무공 이순신함'은 전장이 150m, 전폭 17m, 깊이 9.5m이며 추진기관으로는 가스터빈 2대와 디젤엔진 2대를 갖고 있고, 속력은 최대 30노트, 항속거리는 4천NM(18노트)이다. 또 무장으로는 대함미사일인 하푼, 중거리 함대공 유도탄인 SM-Ⅱ, 함포, LYNX헬기 등을 탑재하고 있어 호송선단및 전투전대에 대한 대공엄호능력을 갖고 있다. 해군 관계자는 "이제 해군은 전투함 분야에서 진일보한 대함.대공.대잠 작전 등입체적인 현대전 수행능력을 갖춤으로써 중거리 대공방어능력 보유와 함께 원해 작전능력을 높이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나아가 해군은 함정의 발전추세와 미래안보환경에 대비하기 위해 장거리 대공방어능력을 보유하고 다수의 적 항공기와 유도탄을 동시에 대응하면서 다양한 공격능력을 갖춘 첨단화.과학화된 이지스 전투체계를 갖춘 7천t급 구축함인 KDX-Ⅲ를 수년내에 확보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 90년대말 건조한 KDX-Ⅰ `광개토대왕함' `을지문덕함' `양만춘함'은3천t급 구축함으로 자체 대공방어능력을 확보, 배타적 경제수역을 포함한 책임해역에 대한 작전수행 능력을 확대시켰으나, 원해작전에는 제한이 있었다. (서울=연합뉴스) 이 유 기자 ly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