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 출마예정자들이 유권자들의 지지를 겨냥한 '지역발전 청사진'을 제시하면서 역대 선거와 마찬가지로 실현가능성이 희박한 선심성 공약을 남발하고 있다. 특히 한나라당과 민주당 등 주요 정당후보 가운데 상당수는 오는 12월 대선승리를 전제로 자치단체는 물론, 중앙정부 차원에서도 감당하기 어려운 화려하고 굵직한공약 발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일부 군소정당과 무소속 후보들의 공약도 기발하기만 할 뿐 실현 가능성이 희박한 아이디어 차원에 머물고 있다. 이에 따라 중앙선관위는 광역.기초단체장의 경우 후보자 등록시 선거공약도 함께 제출토록 해 이를 책으로 엮어 배포함으로써 정책토론회 등을 통한 철저한 검증이 이루어지도록 할 방침이다. 부산시장 선거에 나선 A 후보는 2016년 올림픽 유치, B 후보는 자치경찰제 및자치소방제 도입, C 후보는 특별시 제도 폐지, 경찰.교육기관 통합을 약속하는 등중앙정부가 추진하기에도 벅찬 사업계획을 경쟁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선거시장 선거에 나선 D 후보 역시 공무원 노동3권 보장 등 서울시장의 권한이아니라 중앙정부 차원의 정책 결정과 법률개정 작업을 거쳐야 가능한 사안을 공약으로 내걸고 있다. 강원도의 E 후보는 "강원랜드의 매출액중 1천억원을 도세로 전환, 소외계층 복지기금 100억원, 인재육성기금 40억원 등을 매년 조성하겠다"고 밝혀 `선거를 의식한 선심성 공약'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의정부시장 선거에 출마예정인 F 후보는 택시와 버스 등 모든 대중교통수단에 인공위성 자동항법장치(GPS)를 달아 주겠다고 약속하고 다녀 `믿거나 말거나공약'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중앙선관위는 매번 선거때마다 나타나는 `공약(空約)' 남발 현상이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어김없이 되풀이 되고 있다고 보고 광역 및 기초 단체장 후보의 선거공약을 책으로 엮어 언론사 및 시민단체에 배포함으로써 철저한 검증이 이루어지도록 할계획이다. 선관위 김호열(金弧烈) 선거관리실장은 27일 "예산 등은 고려하지 않고 당선만을 목적으로 하는 무책임한 선심공약 남발행위에 현혹되지 말고 재원, 의지, 타당성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판단해 선거권을 행사하는 성숙한 유권자 의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국종합=연합뉴스) 특별취재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