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권 고가 아파트의 가격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한동안 시장 침체로 거래가 없었던 대형 가구를 중심으로 신고가 경신이 반복되면서 가격 상승세를 주도하고 있다. 연이은 신고가에 5주 연속 보합세를 이어갔던 서울 아파트값을 다시 상승하는 모습이다. 특히 개포동은 최근 대부분 단지가 전고점까지 매매 가격으로 오르면서 현장에선 오히려 추가 신고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이다. 7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개포동 래미안블레스티지 전용면적 113㎡는 두 가구가 각각 38억8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해당 크기는 지난해 6월 36억9000만원에 거래됐다. 6개월여 만에 다시 가격이 오르면서 이제는 40억원대 진입을 눈 앞에 두고 있다. 개포동의 한 공인중개사무소 대표는 “매물 중에선 이미 40억원이 넘는 가구가 있다”면서 “그간 거래가 거의 뜸했던 대형 가구인데 새해부터 연이어 신고가에 거래가 성사되면서 거래 회복과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개포동은 신축과 구축을 가리지 않고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1983년 준공돼 올해 43년차를 맞은 개포주공 7단지는 최근 전용면적 53㎡가 24억원에 거래되면서 신고가를 기록했다. 2023년까지만 하더라도 가격 하락이 반복되며 20억원 미만 거래가 계속됐던 것과 비교하면 달라진 분위기다. 단지 내에서 가장 큰 전용면적 83㎡의 가격은 28억8000만원까지 올랐다. 2020년 준공돼 올해 6년차 단지인 개포래미안포레스트 역시 신고가 대열에 합류했다. 단지 내 전용면적 59㎡는 최근 24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했는데, 당장 지난해 10월 거
약 3억원의 시세차익이 기대되는 세종시 아파트 무순위 청약(줍줍) 모집에 57만명에 육박하는 신청자가 몰렸다. 제도가 개편되기 전 마지막 기회를 노리는 신청자가 몰린 결과다.7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전날 세종시 소담동 '힐스테이트 세종리버파크' 전용면적 84㎡ 타입 무순위 1가구 모집에 56만8735명이 신청했다. 이 단지 공급 금액은 2017년 분양가인 3억2100만원으로 책정됐다.이 청약은 약 3억원의 시세 차익이 기대돼 많은 관심을 받았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이 단지 전용 84㎡는 지난해 12월 분양가보다 3억원 이상 높은 6억3800만원에 손바뀜됐다. 당첨만 되면 3억원의 이득을 보는 '로또 청약'인 셈이다.특히 이번 청약은 다음달 무순위 청약 제도 개편을 앞두고 진행돼 신청자가 더 몰렸다. 정부는 무주택자와 해당 지역 거주자만 무순위 청약에 지원하도록 제도를 강화한 개편안을 내달 발표할 계획이다. 유주택자와 타지역 거주자에게는 이달 무순위 청약이 마지막 기회인 셈이다.청약홈 웹사이트에는 많은 신청자가 몰리면서 전날 오전 한때 접속 장애 현상을 빚기도 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오전 9시10분부터 10분간 일부 접속자가 지연을 경험했다"면서도 "자체 서버에 감지될 정도는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해 7월에도 경기도 '동탄역 롯데캐슬'과 서울 서초구 '래미안 원펜타스', 양천구 '호반써밋 목동' 등 '로또 청약'이 같은 날 진행되면서 접속자가 몰려 청약홈 서버가 마비된 바 있다.이날 청약홈에서는 '힐스테이트 세종리버파크' 전용 105㎡ 1가구 무순위 청약이 진행된다. 공급 금액은 2017
전국 철도망 건설을 담당하고 있는 국가철도공단이 최근 수서역세권 내 토지 분양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면서 개발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어려운 부동산 경기 속에서 개발 능력을 입증하며 ‘팔방미인’으로 성장할 것이란 기대를 모은다. 공단은 폐선로 관리 등에서도 비용과 직원부담을 동시에 줄이며 경영 효율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철도공단 첫 분양 ‘대박’7일 국가철도공단에 따르면 공단이 지난해 매각한 수서역세권 공공주택지구 내 업무·유통시설 용지(B3)는 총 3777억7700만원에 새 주인을 찾았다. 이는 감정가(2805억원) 대비 134.66%에 이르는 가격이다.공단이 역세권 토지 분양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철도망 공급에 집중했던 공단은 사업 다각화 차원에서 사업개발처 중심으로 역세권 개발 사업을 시작했다. 공단의 첫 성과에 대해 부동산 업계는 놀랍다는 반응이다. 이번에 공급한 B3 블록은 총면적 1만6001㎡로 업무·유통시설 4개 필지로 이뤄졌다. 건폐율 60% 이하, 용적률 800% 이하로 제한된 데다가 주변 성남비행장 때문에 고도 제한으로 묶여 있어 매각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도 있었다.수서역세권 개발을 함께하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SH(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도 시장 기대를 웃도는 좋은 결과라고 평가한다. 한 개발업계 관계자는 “공단이 토지 분양 경험이 없어 매각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생각했는데, 예상보다 높은 가격에 낙찰돼 놀랐다”고 말했다.공단은 수서역세권의 좋은 입지가 분양 성공으로 이어졌다고 자평했다. 수서역세권은 수서∼평택 고속철도(SRT)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수도권 전철 3호선 및 분당선, 수서∼광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