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측의 베이징(北京) 주재 한국대사관 영사부무단진입과 한국 외교관 폭행을 둘러싸고 한중간 외교마찰이 심화되고 있다. 중국측은 17일 리 빈(李 濱) 주한대사의 KBS-1 라디오 출연과 한국언론사에 보낸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사건이 전적으로 한국측 책임이라고 강도높게 주장했다. 리 빈 대사는 이날 "한국측이 이 사건을 고의로 왜곡하고 시비(是非)를 뒤섞어아무 이유없이 중국을 비난하고 있다"면서 "이는 매우 무책임하며, 매우 비우호적인것"이라고 비난했다. 특히 그는 "중국은 이에 대한 진일보한 교섭권리를 유보할 것"이라고 말해 상황에 따라 우리 정부에 대한 강도 높은 추가대응 조치를 취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리 빈 대사는 또 한국 영사부내에 중국측 보안요원이 진입하지 않았으며 오히려정당한 중국 공안의 공무집행을 한국 외교관이 방해했다고 비난하며 "우리는 한국측이 해당 외교관 당사자의 책임추궁을 요구한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리 빈 대사는 이같은 결론이 "중국의 해당부문에서 면밀한 조사를 통해 나온 결과로 중국도 해당되는 사실증거를 다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탈북자의 잇단 공관진입이 "한국측의 정책방향과도 관계가 있다"면서"한국측이 중국의 선의를 고려하지 않고, 한국은 계속 권장하고 용인하는 정책을 취했다"고 한국측을 비판했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즉각 "매우 유감스럽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정부 당국자는 "우리측의 사과 및 원상회복 요구에 대한 공식회답은 하지 않은채 언론을 통해 자기들 입장을 일방적으로 발표한 것은 매우 유감"이라고 강한 불쾌감을 표시했다. 이 당국자는 "중국측 설명은 사실관계에 기초하지 않은 매우 일방적이고, 매우부정적인 것"이라면서 영사부내에 진입하지 않았다는 중국측 주장을 "명백한 거짓말"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중국 보안요원이 지난 13일 영사부에 진입해 탈북자로 추정되는 원모씨를데려간 것은 사실이며, 영사부의 불가침권이 침해된데 따른 원상회복을 위해서 영사부 밖 초소에서 원모씨를 (우리 외교관이) 끌고 나가지 못하게 한 것 역시 정당하다"고 중국측의 사과와 책임자 문책을 거듭 요구했다. 정부는 이날 리 빈 대사의 언급을 사태모면을 위한 국내용 `언론플레이'로 간주하고 조만간 주한대사를 거듭 초치해 강력히 항의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황재훈기자 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