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국제연합(UN)으로부터 전자정부 선도국으로 평가됐다. UN 사무국은 작년 상.하반기 두차례에 걸쳐 6개월간 미국 행정학회(ASPA)와 공동으로 190여 UN 회원국을 대상으로 전자정부 구현 수준을 평가한 결과 한국을 전자정부 선도국가군에 포함시켰다고 정보통신부가 19일 밝혔다. UN과 같은 공신력 있는 국제기구가 각국의 전자정부 수준에 대해 저명한 학자와각국 정부 및 국제기구 전문가의 참여하에 광범위한 조사.평가를 실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한국은 인터넷을 통한 행정서비스 제공수준에 있어 미국,호주, 싱가포르 등 16개국과 함께 현재 최고 단계인 전자거래 및 전자지불이 가능한국가군에 속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또한 인터넷 행정서비스 수준과 IT(정보기술)인프라, 인적 자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전자정부 구현 순위 평가에서도 한국은 UN 회원국 중 15위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행정서비스의 수준에 따라 ▲시작 ▲발전▲상호작용 ▲전자거래 ▲통합처리 등 5단계로 구분했으며 주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일본, 벨기에, 오스트리아 등도 전자거래 단계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한국과 함께 전자거래 단계에 진입한 국가는 호주, 브라질, 캐나다, 핀란드,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이탈리아, 멕시코, 뉴질랜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싱가포르,스페인, 영국, 미국 등 17개국이었다. 정통부는 "UN사무국은 한국에 대해 전자정부 계획의 성공적인 추진으로 가장 극적인 진전(dramatic advance)을 보인 국가로 평가했다"면서 "이는 작년부터 범정부적 차원에서 강도 높게 추진해 온 전자정부 구현사업의 성과가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UN사무국은 이와함께 정부대표 포털의 모범사례로 국정홍보처 해외홍보원이 운영하는 대한민국 정부대표 영문 홈페이지(www.kois.go.kr)를 선정했으며 국세청 홈페이지(www.nts.go.kr)를 우수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했다. 정통부는 "금년 말까지 전자정부 기반구축을 위한 11대 과제가 마무리되고, 정보화 인프라가 더욱 고도화됨에 따라 앞으로 전자정부 구현에 있어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정내기자 jnl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