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법무부가 세계 주요 메모리반도체업체들을 대상으로 반독점법 위반여부에 대한 조사에 나섰으나 아무런 성과도 거두지 못할 것이라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애널리스트들의 말을 인용,20일 보도했다. 미 법무부는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한국 삼성전자,독일 인피니언 등 세계 메모리반도체시장의 6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업체들이 서로 담합,D램반도체 가격을 끌어올렸다는 혐의에 대해 조사를 진행 중이다. 그러나 애널리스트들은 D램가격이 지난해 이후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시점에서 이번 조사는 무의미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현재 D램이 생산단가보다 조금 높은 3달러선에 거래되고 있으며 생산효율성이 떨어지는 일부 업체들은 적자가 계속 누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D램의 주된 수요처인 PC와 서버시장이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가격을 인위적으로 올린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영국 반도체전문 시장조사업체인 퓨처호라이즌의 말콤 펜 대표는 "D램가격이 바닥인 상황에서 가격담합에 대해 조사하는 것은 정신나간 짓(madness)"이라며 "가격담합 행위가 있었다면 D램 가격은 현재보다 10배는 높아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FT도 "조사결과보다는 누가 어떤 목적으로 법무부에 조사를 의뢰했는지에 관심이 모아진다"며 D램가격 상승을 우려한 PC업체들을 그 대상으로 지목했다. 델컴퓨터 휴렛팩커드(HP) 애플컴퓨터 게이트웨이 등의 경우 D램가격이 상승할 경우 비용측면에서 심각한 타격을 받기 때문에 정부당국에 조사를 부추겼을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델컴퓨터 마이클 델 회장은 지난 4월말 열린 정보기술(IT)컨퍼런스에서 "주요 D램업체들이 가격담합을 위해 카르텔을 형성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비난했다. 한편 19일 뉴욕증시에서는 법무부의 조사착수 소식으로 반도체주들이 급락했다. 조사대상에 오른 마이크론은 전날에 비해 14.9% 폭락했고,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16개 구성종목 모두 떨어지면서 6.74% 하락했다. 송태형 기자 toughl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