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이 한달간의 일정을 마치고 폐막하자인천국제공항의 관련기관들이 크게 안도하고 있다. 이번 월드컵은 지난해 9.11테러 이후 테러에 대한 공포가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열려 한국의 관문을 지키는 인천공항의 20여개 관련기관들은 지난 5월중순 이후 거의 한달반 동안 긴장의 나날을 보내야 했다. 특히 월드컵은 전세계인이 한자리에 모이는 자리여서 테러 대상이 될 수 있기때문에 공항내 보안관련 기관들은 테러 관련자를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는 중압감 속에서 비상체제를 유지해왔다. 공항보안당국은 항공사, 경찰, 기무사, 세관, 출입국사무소, 검역소, 서울항공청, 군경비단 등 20여개 관련기관들로 `월드컵 공항대책반'을 구성, 매일 24시간씩2교대로 근무했다. 대책반은 국제축구연맹(FIFA)의 귀빈 등 공식적으로 한국을 방문한 7천여명에대한 경호와 의전을 비롯, 세계 각국의 정보망을 가동해 테러분자와 훌리건의 동향을 추적, 입국을 막는 임무에 주력했다. 경찰은 3개중대 400여명의 경력을 공항 안팎에 배치하고 장갑차, 헬기, 경찰특공대 등을 동원해 요인과 선수단의 경호에 만전을 기해 단 한건의 안전사고도 발생하지 않았다. 세관은 지난해 88년 서울 올림픽 당시 공항내 쓰레기통 폭발사건을 교훈삼아 총,칼 등 위해물품의 반입을 차단하기 위해 X-레이 검색대 8대를 추가 설치하고 검색요원들을 100여명이나 증원, 모든 여행객들의 짐을 검사했다. 세관의 검색강화는 미 세계 각국에 알려져 지난 한달간 위해물품은 물론 마약,밀수 등의 범죄도 크게 줄어드는 효과를 얻었다. 출입국사무소는 세계 각국으로부터 테러분자와 훌리건의 신상명세서를 넘겨받아입국심사 과정에서 3명의 영국 훌리건을 되돌려 보내고 입국목적과 신분이 불확실한2천여명의 입국을 거부했다. 출입국사무소는 또한 세계인의 축제에 참가하려는 외국 관광객들을 문전박대한다는 비판속에서도 테러방지를 위해 의심이 가는 사람들은 가차 없이 입국을 거부,결과적으로 안전 월드컵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공항보안당국은 이번에 역사적인 월드컵을 치르면서 체득한 노하우와 문제점을정리, 백서로 만들어 다른 국제행사에 참고토록 할 계획이다. 보안당국의 한 관계자는 "다행히 외국인 관광객들이 당초 예상치인 30만명에서10만여명으로 감소해 업무량도 생각보다 많이 줄었지만 사소한 사고 한건이 축제분위기를 망칠 수 있어 그동안 긴장을 늦추지 못했다"며 그동안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영종도=연합뉴스) 김대호 기자 dae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