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가 시작되는 7월을 맞아 '섬머랠리'를 기대하는 것은 조금 무리일까? 


지난 70년이후 32년만에 가장 우울한 상반기를 보낸 월가는 그동안 골이 워낙 깊었음에도 여름장을 기대하는 얘기들이 솔솔 나오고 있다.


 이유는 몇가지 있다.우선 5주간 연속 하락세를 보이던 증시가 지난주 조정양상을 보였다는 것.


사상최대 분식회계사건이라는 '월드컴 태풍'에도 불구하고 다우가 0.11%(10.53포인트)에 하락하는데 그친 반면 S&P500과 나스닥은 오히려 상승세를 보였다.S&P500는 0.07%오른 989.82를 기록했고 나스닥도 1.54% 상승한 1,463.21을 나타냈다.


월드컴 파문이 불어닥친 수요일(26일)한때 다우 9000선이 붕괴되고 S&P가 지난해 테러직후 최저점인 9월 21일의 965밑으로 내려가기도 했던 모습은 벌써 잊혀지는 양상이다.

 

주가가 급락세를 멈추면서 거래량이 늘고 있다는 점도 호재이다.뉴욕증권거래소의 거래량을 달러로 환산할 경우 지난 1월의 하루평균 거래금액은 4백44억달러.이것이 지난 5월에는 3백88억달러까지 감속했지만 지난달 다시 4백30억달러로 늘어났다.지난주엔 거의 5백억달러에 육박하기도 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이 정말 주목하는 것은 경제가 좋아지고 있다는 점이다.1분기 GDP(국내총생산)증가율이 당초 잠정 추정했던 5.6%보다 높은 6.1%%로 나타났고 6월의 제조활동도 빠르지는 않지만 꾸준히 좋아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게다가 이달부터 발표되는 기업들은 2분기 이익은 거의 2년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등 투자심리를 밝게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월가전략가들은 이에따라 "기말고사를 망친 학생이 여름방학의 로맨스를 기대하는 것처럼 증시에도 섬머랠리에 대한 얘기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이들은 "지난 금요일 분식회계가 밝혀진 제록스가 예상보다 낮은 12.8% 하락하는데 그친 것에서 보듯 분식회계파문도 이미 주가에 어느정도 반영되어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지난주 종목별로는 월드컴의 여파에 따라 춤을 추었다.루슨트테크놀로지가 29% 폭락하는등 통신장비회사들이 직격탄을 맞았다.한때 급락했던 은행들은 피해가 예상보다 크지 않을 것이란 발표로 낙폭을 줄였다.수요일 36달러 밑으로 떨어졌던 시티그룹도 38.75달러에 한주를 마감하는등 2.6% 하락으로 막았다.시티그룹은 회사측은 금요일 장이 끝난뒤 월드컴관련손실은 무시할만 수준이라고 밝혔다.

 

케이블업계의 충격도 커서 AOL타임워너가 주중 한때 연중 최저치인 12.75달러를 기록했고 전국적인 라디오방송인 클리어채널이 지난주 15.6% 하락했다.담배회사들의 흡연피해소송패배로 필립모리스와 RJR이 각각 

17.1%와 12.7% 씩 떨어져 눈길을 끌었다.

 한편 지난 상반기에는 나스닥이 24.8% 하락해 반기하락률 사상최대를 기록했으며 S&P500도 지난 70년이후 최대인 13.8% 떨어졌다.다우도 7.7% 떨어져 2000년 상반기이후 가장 낙폭이 컸다.

 

뉴욕=육동인 특파원 dong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