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이 2일 작전지침을 북 함정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침범시 시위기동 이후 경고사격과 격파사격을 위주로 변경한 것은 또다시 서해교전과 같은 `치욕'을 당하지는 않겠다는 의지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현행 교전규칙과 합참 작전예규에 따른 종전의 작전지침은 북 경비정이 NLL을침범할 경우 먼저 근접거리에서 경고방송을 한 뒤, NLL 복귀에 불응하면 시위기동과차단기동에 이어 경고사격, 격파사격의 5가지 단계를 밟도록 돼있었다. 지난달 29일 서해교전 당시에도 우리 고속정 2개 편대(4척)는 각각 NLL을 넘은북 경비정 2척을 상대로 `NLL 이북으로 복귀하라'는 경고방송과 시위기동에 이어 차단기동을 위해 불과 450여m 떨어진 거리까지 근접한 상태에서 `일격'을 당했다. 그야말로 전혀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북 경비정으로부터 집중타격을 받았고 그결과 전사자 4명 등 24명의 사상자와 고속정 침몰 등 엄청난 피해를 입은 것이다. 이에 따라 무엇보다 우리 함정이 적 경비정에 어쩔 수 없이 다가가야 하는 경고방송과 차단기동 2단계를 아예 없애고, `안전한' 거리를 유지하겠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 안기석 합참 작전차장은 브리핑에서 "북 경비정에 경고방송과 차단기동을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근접할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경고방송을 하지 않겠다는 것은 우리 함정의 안전거리를 확보하는 한편, 필요시적을 정확히 타격할 수 있는 우리 함정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는 뜻인 셈이다. 그런 상황에서 북 함정의 퇴거를 요구하는 시위기동을 하고, 북 함정이 이에 불응하면 경고사격을 하고 계속 불응하면 격파사격에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반드시 경고사격후 격파사격을 하는 것인 만큼, 이번 북 경비정처럼 아무런 경고없이 불시에 타격을 가하는 `선제사격'과는 다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날 합참이 새로운 작전지침을 예하부대에 시달한 것은 현재 검토중인 교전규칙과 합참예규 수정.보완 작업에 일정한 시간이 소요될 것인 반면, 서해교전이후 작전부대 사병들이 어떻게 해야할 지 갈피를 못잡을 것을 우려한데 따른 것이다. 교전규칙 수정.보완작업은 합참이 유엔사와 함께 면밀히 공동검토해야 하고 그것을 토대로 합참예규를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서해교전 이후 나흘이 지난 지금까지 북한군의 특이동향은 없지만, 북 경비정이언제 또 다시 NLL을 넘어올 지 알 수 없다는 점에서, 일단 일선 작전부대의 사병들에게 동일한 사태가 발생했을 경우 대응지침을 우선적으로 시달한 셈이다. 이상희 합참 작전본부장(육군중장)은 "이번 작전지침의 내용은 추후 교전규칙과합참예규 수정.보완시 반영하게 된다"고 말했다. 안전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북 함정에 대처하는 내용의 작전지침이 마련됨에따라 앞으로 사거리가 더 긴 함포들을 장착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한 해군 함정들의재편성 및 재배치도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함께 해군 뿐아니라 공군, 지상군 등 합동전력의 대비태세도 강화된다. 그동안은 NLL 부근에서 교전이 벌어진 뒤에야 공군 전투기가 그 부근까지 초계비행을하고, 백령도.연평도 등에 위치한 지상군도 전투태세를 갖췄지만, 새로운 작전지침에 따라 북 경비정이 NLL을 침범할 징후만 포착되도 해군과 공군, 지상군 병력이 합동으로 전투에 대비하는 쪽으로 군사대비 태세가 강화된다. 이번 서해교전의 경우, 서산에서 초계비행중이던 공군 전투기 KF-16 2대가 교전이 나자 덕적도 부근까지 갔으나, 새 지침에 따르면 앞으로는 NLL 침범 징후만 보여도 NLL 부근으로 전진배치된다. (서울=연합뉴스) 이 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