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 어선들의 조업경계선 이탈조업 및 군(軍)의 묵인여부 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합참(전비태세검열실)과 해양수산부는 어선들의 불법조업 여부 및 서해교전 당시 상황 등에 대한 조사를 군 등을 상대로 이틀째 벌이고 있다. 연평도 어민들 사이에서는 지난달 29일 발생한 교전사태는 악화일로에 놓인 생활고를 극복키 위한 어민들의 과욕에서 빚어진 결과라는 지적과 함께, 이번 사태로인한 어민들간 반목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연평어장 현황 및 문제점 서해 특정해역상에 위치한 연평어장의 면적은 총 700㎢. 이곳 연평어장에서는 첫 서해교전이 일어난 지난 99년 3∼6월까지만 해도 1천697.4t의 꽃게를 잡아 134억5천여만원의 어획고를 올렸다. 하지만 지난 2000년 같은기간 어획량은 1천169.5t, 2001년 815.8t으로 줄어든데이어 올들어서는 453.1t으로 3년전에 비해 무려 73.3%나 줄어들었다. 어민들은 연평어장의 오염을 어획량 감소의 주원인으로 꼽고 있다. 어민 김모씨는 "수년전만해도 1틀이 길이 180m 정도인 어망을 어장에 쳤지만,최근들어 길이 300m, 500m짜리 어망을 좁은 어장에 서로 얽히게 설치, 꽃게의 이동통로가 막혀 예전처럼 연평어장에서 꽃게잡는 일이 쉽지 않다"고 말하고 있다. 연평도 소속 어선 56척이 지난 4월부터 연평어장에 꽃게잡이를 위해 친 그물은총 1천120틀로 길이로 따진다면 무려 201.6㎞에 달한다. 틀이란 그물을 설치하기 위한 일종의 말뚝으로 3월 꽃게철에 바다에 설치한뒤 7월초 금어기에 철거하게 된다. 그물은 걸린 꽃게를 떼어낸뒤, 소각처리하도록 돼있으나 대부분 어선이 그물을어장에 그대로 방치, 어장을 황폐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실제로 옹진군이 9억7천여만원을 들여 지난 99년과 지난해 연평어장에 대한 청소작업을 벌여 바닷속에서 모두 520여t에 달하는 폐어망과 폐어구, 닻 등을 건져 처리했다. ◇어선의 조업실태 이처럼 어장의 황폐화로 인해 어선들의 조업경계선 이탈이 앞다퉈 이뤄지고 있고, 이는 이번 교전사태를 부른 원인중의 하나라는 지적도 적지 않다. 어선들은 조업경계선을 이탈, 꽃게가 많은 북쪽 해상으로 점차 올라가 심지어적색구역(어로 저지선)까지 침범, 그물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서해특정해역상에서 어선들의 조업을 지도. 감시하는 선박은 해군 고속경비정 6척과 옹진군 소속 어업지도선 2척 등 모두 8척. 어업지도선의 경우 2척중 한척은 선령 노후로 폐선 직전인데다, 나머지 한척도속도가 시속 18노트에 불과한 실정이다. 반면 수년전 꽃게 풍년으로 연평도 어선중 상당수가 위성항법장치(GSP)와 신형레이더를 갖추고 시속 20노트 이상의 속력을 낼 수 있는 선령 2∼3년짜리 신형어선으로 교체돼, 어업지도선의 통제는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다. 고속경비정의 경우도 어선들이 집단으로 조업경계선을 넘어 불법 어로행위를 해도 현재 투입된 경비정수만으로의 통제는 불가능한 상태다. 선장들은 고속경비정의 강제 철수명령을 받고 조업구역내로 남하했다가, 또다시조업경계선을 넘어 조업을 하는 등 경비정과 어선과의 해상 숨바꼭질이 비일비재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일부 어선들의 경우는 조업경계선과 불과 6마일 떨어진 북방한계선(NLL) 부근 700여m 해상까지 올라가 조업을 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군과 어민들간에는 불법조업을 둘러싼 마찰도 심심찮게 일어나기도하고, 군이 어민생계와 안전 사이에서 자주 딜레마에 빠지고 있는 형편이다. 금어기를 불과 사흘 앞둔 지난달 26일부터 연평도 꽃게잡이 어선들의 조업경계선 이탈과 불법조업도 군이 묵인해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달 26일부터 서해교전 당일인 29일 오전까지 연일 어선들의 불법조업과 일명 빨간 바가지(북한 경비정)의 잇따른 출현으로, 철수와 불법조업이 반복돼 왔다. 이번 사태로 민과 군이 갈등을 빚는 것은 물론, 연평어민들 사이에서도 갈등의조짐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한 주민은 "군 부대장이 이임을 하게되면 주민들이 금이나 감사패 등을 전달했지만 이번의 경우는 전혀 다른 것 같다"며 "일부 어민사이에서는 반목 질시 현상도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해결책 연평어장은 지난 89년과 92년 두차례에 걸쳐 확장됐다. 어민들은 지난 2000년 5월에도 현재의 어장을 서북방으로 1마일, 정서방으로는1.5마일씩 확장시켜달라며 관계기관에 건의했다. 서북방의 경우 '북한과의 마찰과 고속 경비정의 활동에 장애가 된다'는 이유로국방부로 부터 수용불가 통보를 받았다. 그러나 일부 어민들은 "어장을 깨끗이 만들지 않는 상태에서 어장확장은 의미가없다"며 "어민 스스로가 어장 청결을 유지, 꽃게가 살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줘야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반면 다른 일부 어민들은 "북한 어선과 우리측 어선의 조업구역을 넘어선 불법어로행위가 많은 만큼, 차라리 공동어로수역을 만들어줬으면 좋겠다"는 입장을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더이상 북한과의 마찰을 빚지 않기 위해서는 출항과 귀항시 어선들이 보유한 그물량에 대한 정확한 조사 등을 통해 연평어장을 청결하게 만들어야 한다는것이 이번 사태를 지켜 본 주민들의 얘기다. (연평도=연합뉴스) 김명균기자 km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