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부터 본격 시작하는 이번 임시국회에서는 8·8 재·보선을 앞둔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정국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 뜨거운 공방전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양당이 장상 총리서리 인사청문회와 교섭단체 대표연설,상임위활동을 통해 7·11개각의 문제점,대통령 아들비리에 대한 국정조사와 특검제 도입,공적자금 국정조사,서해교전 사태 등 쟁점을 놓고 한판승부를 벼르고 있기 때문이다. ◆상임위 격돌=재경위와 정무위에서는 공적자금과 예보채 동의안 처리가 쟁점이다. 한나라당은 정부가 최근 발표한 공적자금 운용과 회수대책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예보채 동의안 처리에 앞서 조속한 국정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민주당은 동의안을 먼저 처리한 뒤 국조문제를 구체적으로 협의하자는 입장으로 맞서고 있다. 운영위와 정보위에서는 신건 국정원장과 임동원 전 원장의 김홍업씨 '떡값'제공과 이에 따른 책임론이 최대 이슈다. 한나라당은 두 사람을 업무상 횡령혐의로 검찰에 고발하겠다고 으름장을 놓는 등 인책론을 앞세운 파상공세를 예고하고 있다. 이에 민주당은 한나라당 집권시절 안기부 예산의 선거자금 전용 의혹을 제기하며 맞대응할 태세다. 송정호 전 법무장관의 교체배경(법사위)과 이태복 전 복지부장관의 '다국적 제약회사 로비설'(보건복지위),북한의 서해 도발시 군대응의 적정성 여부(국방위) 등도 논란거리다. ◆대표연설=8·8 재·보선을 겨냥한 이슈선점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 서청원 대표는 권력형 비리청산을 위해 대통령 아들 비리에 대한 특검제 도입과 국정조사,대통령에 대한 직접조사 실시를 강력히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금강산관광 중단 등을 포함한 대북정책 재검토와 즉각적인 공적자금 국정조사 실시도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민주당 한화갑 대표는 부정부패 척결을 위한 입법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한나라당의 부정·비리 의혹을 집중 부각시킬 것으로 전해졌다. 세풍과 이회창 후보 아들 병역비리의혹,빌라게이트 등 '5대 의혹사건'도 거론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창·김동욱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