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제주를 찾은 관광객이 98만여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4년 만에 관광객 수는 100만명 아래로 떨어졌다.3일 제주도관광협회에 따르면 지난 1월 한 달간 제주를 찾은 내외국인은 98만1521명이다. 이는 전년 동기(105만4690명)보다 6.9%(7만3169명) 줄어든 수치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시기인 2021년 1월 46만8016명 이후 처음으로 100만명 아래로 떨어졌다.전체 관광객 수 감소 요인으로는 내국인 관광객 감소가 꼽힌다. 해당 기간 외국인 관광객은 전년 대비 20%가량 늘었지만, 내국인은 9.8% 감소하면서다. 지난 1월 한 달간 제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12만1308명이다. 전년도 10만1143명 대비 2만165명 늘었다. 내국인은 86만213명으로 전년 동기(95만3547명) 대비 9만3334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최근 3년간 1월 제주를 찾은 관광객 수는 2022년 117만802명, 2023년 103만2565명, 2024년 105만4690명 등이다.제주도관광협회는 국제선 운항이 늘고 중국 최대 명절 춘절이 겹치면서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났지만, 국내선 운항은 줄고 긴 설 연휴에 해외여행을 택한 수요가 많아 내국인 관광객은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 출연진과의 콜라보레이션(협업) 열풍이 다시 불고 있다. 롯데리아가 지난달 16일 흑백요리사 우승자 ‘나폴리 맛피아’ 권성준 셰프와 협업해 내놓은 ‘나폴리맛피아 모짜렐라버거’는 매장 곳곳에서 품절 대란을 빚었다.3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GRS가 운영하는 롯데리아는 지난달 31일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나폴리맛피아 모짜렐라버거 판매량이 폭주해 원활한 자재 공급이 어렵다”며 “매장별 일일 보유 수량 소진시 추가 판매가 어렵다. 양해 부탁드린다”고 공지했다.이 버거는 롯데리아 기존 메뉴 ‘모짜렐라 인 더 버거’에 권 셰프의 스페셜 레시피를 접목한 것이다. 출시 첫날부터 목표 판매량의 2배 넘게 팔려나갔으며 이달 2일 기준으로 누적 100만개 이상 판매됐다.실제로 지난달 서울 서대문구 한 롯데리아 매장에선 나폴리맛피아 모짜렐라버거 메뉴 2종이 모두 품절 상태였다. 롯데GRS 관계자는 “고객 반응이 뜨거운데 전용 번(햄버거빵)을 사용하므로 매장에 따라 오후 시간대에는 완판될 수 있다”고 귀띔했다.롯데리아 측은 “현재 나폴리맛피아 모짜렐라버거 2종에 대한 호평이 나오면서 판매량이 예상보다 훨씬 많아 원자재 수급에 노력하고 있다”면서 “매장별 원재료 입고 수량 조정을 통해 최대한 많은 고객이 신메뉴를 즐길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맘스터치도 흑백요리사 준우승자 에드워드 리 셰프와 협업한 싸이버거 메뉴를 내놓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다만 이 제품은 이달 중 수도권 일부 직영점에서 사전예약자 대상으로 판매할 예정이며 다음달 전국 매장에 출시할 계획이다.좀처
한국경제신문의 프리미엄 문화예술 매거진 ‘아르떼’ 9호(2월호)가 발간됐습니다. 이번 호 커버스토리는 ‘발레의 황태자’로 꼽히는 발레리노 전민철(21)을 조명합니다. 전민철은 오는 6월 세계적인 명성의 러시아 마린스키 발레단에 입단합니다. 주역을 맡을 수 있는 무용수인 ‘솔리스트’ 등급으로 활동을 앞두고 있습니다. 20대 초반부터 글로벌 커리어를 쌓게 된 그를 무대 뒤에서 만나 진솔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미술 분야에선 올해 유럽과 미국 등 세계 주요 무대에서 열리는 주요 전시를 정리했습니다. 이방인과 여성, 탈경계 등 키워드를 중심으로 올 한해 미술계의 트렌드를 내다봅니다. 클래식 음악 코너에선 지난해 12월 별세한 원로 피아니스트 한동일의 생애를 돌아봅니다. 라이프&스타일 부문에선 소설가 이승우의 작품 세계를 소개합니다.아르떼 최연소 커버스토리…'발레의 황태자' 전민철만 21세. 최근 출간된 한국경제신문의 프리미엄 문화예술 매거진 ‘아르떼’ 9호(2월호)가 조명한 발레리노 전민철의 나이다. 역대 아르떼 커버스토리에 등장한 인물 가운데 최연소다. 하지만 세계 발레 무대에서 그의 입지는 가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