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2일 내놓은 증시안정 대책은 '뉴욕발 악재'를 진정시키는데는 역부족이었다. 이날 종합주가지수의 하락률(4.47%)은 지난 주말 미국 다우지수의 낙폭(4.64%)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증시 전문가들은 증시 약세가 국내적 요인이 아니라 해외 악재에 의한 것인 만큼 특단의 대책을 기대하기는 힘들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현대투신운용 백승삼 주식운용본부장은 "현재는 뚜렷한 대책이 나올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며 "정부가 증시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상징적 의미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와 달리 파생상품 시장의 불륨이 커져 주가가 올라야만 시장참여자들이 이익을 얻는 일방적인 시장이 아니다"며 "따라서 정부의 증시 대책이 먹힐 여지 역시 그만큼 줄어들었다"고 덧붙였다. 정부 대책이 응급 처방이 아니라 중장기적인 수요 기반 확충에 초점이 맞춰진데 대해서는 평가가 긍정적이다. 삼성증권 김지영 투자정보팀장은 "즉흥적인 처방보다 중장기적인 대책에 포커스를 맞춘 것은 예전보다 성숙된 조치"라고 평가했다. 그는 그러나 "문제의 핵심은 우리가 칼자루를 쥐고 있지 못한데 있기 때문에 정부 대책의 효과도 미미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날 대책의 상당부분이 증시 안정대책의 '단골메뉴'를 재탕한데 불과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날 대책중 △기업연금제 조기도입 △소규모 연기금풀의 규모와 주식투자비중확대△집단소송제 도입 △시가배당률 공시 등은 정부가 지난 6월27일 금융정책협의회에서 발표한 내용과 크게 다를바 없다는 것. 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은 "정부에서 내놓은 것중 새로운 것은 거의 없다"며 "특히 연기금의 주식투자 확충문제 등은 정부가 지속적으로 얘기한 것으로 단순히 대책형태의 발표만으로는 시장 안정에 기여하기 힘들다"고 밝혔다. 윤성민 기자 smy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