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31일 총리 인준안 부결에 의외라는 반응을 보이면서도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인사파행'이 낳은 당연한 결과라고 주장했다. 특히 민주당이 한나라당 탓으로 돌리고 나서자 발끈하며 "민주당 내분 탓"이라고 반격했다. 한나라당은 부결직후 여성계의 반발과 국정공백의 책임이 원내 제1당인 자신들에게 쏠릴 것을 우려, 국회에서 서청원(徐淸源) 대표 주재로 긴급 최고위원회의를갖는 등 대책을 협의했다. 서 대표는 회의직후 가진 간담회에서 "도덕성.신뢰성.국정수행능력에 대한 청문회의 결과였으며 민의의 표현"이라며 "대통령과 민주당은 오늘로써 사실상 집권능력을 상실했다"고 천명하고 "국민의 소리가 무엇인지 겸허하게 되새겨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서 대표는 부결을 한나라당 탓으로 돌린 민주당 논평을 지적, "오늘 큰 차이로 총리인준이 부결된 것은 정책여당이라고 자처하는 민주당 내의 정파적 대립의산물"이라며 "신당 창당을 한다는데 반대그룹이 어떻게 가표를 던지겠느냐"고 민주당내 상호불신을 부채질했다. 하순봉(河舜鳳) 최고위원도 "청문회 내용을 보면 인준반대가 주류였지만 국정혼란을 우려해 당 지도부가 고뇌끝에 가표를 던졌고, 적어도 20-30표는 가세해 근소하게 여성총리가 탄생할 것으로 생각했다"면서 "민주당이 민의로 받아들이지 않고 야당을 음해하는 작태를 계속하면 엄중 대처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놨다. 이규택(李揆澤) 총무도 "집권당이 당론을 정하지 못하고 자유투표로 간다고 했을 때 안되겠구나 생각했다"고 가세했다. 남경필(南景弼) 대변인은 논평에서 "첫 여성총리 탄생을 기대했는데 이같은 결과가 나와 안타깝지만 정확한 민의의 반영이라고 판단된다"면서 "정실에 따른 '깜짝쇼'같은 DJ식 파행인사가 되풀이돼선 안된다는 뼈저린 교훈"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빠른 시일내에 도덕성, 중립성, 전문성 등을 갖춘 신망높은 인사를 다시 지명해야 한다"면서 부정부패척결, 선거불개입, 대선 공정관리 등을 인선기준으로 제시했다. 이회창(李會昌) 대통령 후보의 한 측근은 "임명권자인 대통령의 권위가 상당히손상됐다"면서 "사전에 검증을 철저히 하지 못한 누군가가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는 공세로 예상되는 책임론을 차단하려 했다. (서울=연합뉴스) 민영규기자 youngkyu@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