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 KOREA] 제1주제 : 현장과 따로 노는 工大교육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대 공대 출신 A씨.그는 올 초 들어간 대기업 그룹에서 6개월 동안 신입사원 연수를 받았다.
현업에 배치된 후에도 6개월 가량 집중 교육을 받았다.
사회에 진출하기가 무섭게 대학에서 배운 이론이 현장에서 별 쓸모가 없음을 실감한 것이다.
'18세기 강의실에서,19세기 자료를 가지고,20세기 교수가,21세기를 살아갈 학생을 가르친다.' 재학중 우스갯 소리로만 들렸던 이 말이 터무니없지 않았음을 확인한 것이다.
왜 이러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가.
바로 커리큘럼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서울 공대 기계항공 공학부의 커리큘럼도 그같은 사례다.
전공을 위해 필수적인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나 인터넷 등을 배울수 있는 커리큘럼이 있기는 하다.
그러나 필수과목이 아니다.
따라서 공과대의 공통 교과목인 컴퓨터학 개론을 통해서만 배울 수 있다.
설계과목도 찾아보기 힘들다.
3학년 과정에 기계설계과목이 필수과목으로 유일하게 개설돼 있다.
나머지는 선택과목이다.
자동차분야 등에서 요구하는 설계인력을 키우는게 목적이 아니기 때문이라는게 학과측 설명이다.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실제로 설계 및 제작에 적용하는 설계프로젝트도 전공필수가 아니다.
그러니까 '공대가 설계도면 조차 이해못하는 엔지니어를 양산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다.
설계교육에 배당되는 학점이 많아야 10학점에 불과하다.
16학점에다 종합설계(Capstone-Design)까지 더해지는 미국 공대와 판이하다.
서울대공대에서 가르치는 지식이 산업현장과 너무나 동떨어져있다.
산업현장의 니즈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일방적인 교육방식만 고집한다.
산업구조가 정보통신(IT)중심으로 바뀌었지만 교육은 이를 따라가지 못한다.
최근 서울대 개혁자문단(의장 로좁스키 미국 하버드대 교수)의 조사에 따르면 90%의 학생이 "학교가 사회진출에 필요한 교육을 해주지 못한다"고 밝혔다.
80%는 "학교가 대학원 진학준비를 적절히 시켜주지 못한다"고 답했다.
서울대 대학생활문화원이 2002년도 학부졸업예정자 2천1백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학교육의 질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도 마찬가지다.
이들은 영어회화 컴퓨터활용 정보화능력 창의력 리더십 미래비전 등 항목에서 '보통이하'라고 답했다.
신입사원채용때 가장 중요한 이들 부문에 대한 만족도가 특히 낮았다.
전공분야에서만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직장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경영 민법 상법 등에 관한 지식은 물어볼 필요조차 없다.
그래서 서울공대 출신 신입사원들은 이중의 고통을 받는다.
이같은 문제가 어디에서 발생하는가.
바로 커리큘럼에서 출발한다.
커리큘럼 문제가 우리만의 현상은 아니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오래전부터 골칫거리의 하나였다.
그래서 대학커리큘럼도 인증을 받게 했다.
그러나 한국은 99년부터 공학교육 인증제를 실시했다.
그러나 지난해까지 인증받은 것은 고작 영남대 동국대 등 2개대학의 공학 커리큘럼뿐이다.
최근 기업의 수요를 교육목표와 교과과정에 반영하는 '공학 교과과정의 산업현장 유용성'정도를 평가한 결과 서울 공대 40%,UCLA 90%로 집계됐다고 산업자원부는 분석했다.
커리큘럼 등 공학교육을 인증하는 기관(ABET)이 지난 1932년에 설립된 미국 등 선진국과는 대조적이다.
교과과정이라는 틀도 중요하지만 강의 내용이 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도 있다.
주입식 강의에서 벗어나 그룹활동이나 프로젝트 등을 통해 학생들 스스로 생각하고 이론을 실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것도 필요하다.
K 교수는 "교수들이 평가에 급급해 논문위주의 프로젝트로 산업현장과 동떨어진 이론을 연구한다"며 교수업적 평가가 연구에 치중돼 있어 교육에 시간을 투자할 여력이 없다고 털어놓았다.
그러나 지금같은 커리큘럼으로 교육을 계속한다면 교육과 산업현장간 괴리는 더욱 심해질 수 밖에 없다.
이는 결국 인력의 양적 질적 균형을 무너뜨릴 것이다.
커리큘럼 개편없이는 서울공대 출신들의 실력과 기를 살릴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