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숙 신작 'J이야기' 출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작가 신경숙의 소설모음 'J이야기'가 출간됐다.
등단 초기부터 '풍금이 있던 자리'를 출간하기 전까지 신문이나 잡지 사보 등에 썼던 짧은 작품들을 엮은 것이다.
게재 당시와는 달리 글들을 대폭 수정하고 새롭게 재구성했다.
20대의 신경숙이 쓴 글을 마흔이 된 신경숙이 다시 고쳐 쓴 셈이다.
주인공 J가 다양한 사람들과 인연을 맺고 누군가를 사랑하고 결혼해 아이를 낳으며 맞게 되는 삶에 대한 통찰을 총 44편의 짧은 소설 속에 담았다.
J와 J의 가족,친구,애인,선후배,남편,딸 연이가 엮어내는 이야기들은 각각의 독립된 이야기이면서 또한 J라는 한 인물의 연작이기도 하다.
시골 작은 마을에서 자란 J는 대학교에 들어가면서 서울로 올라와 오빠와 함께 살아간다.
작가의 개인사를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하는 대목이다.
J는 대학을 졸업한 뒤 출판사를 다니다 8년간 사귄 남자와 결혼해 딸 연이를 가진다.
평범한 여성인 J와 주변 사람들이 벌이는 갖가지 해프닝은 엉뚱하고 기발한 반전으로 상큼한 웃음을 짓게 만든다.
'환한 대낮에 깜빡 잠이 들었다가 어스름녘에 깨서는 아침인 줄 알고 학교 늦었다고 책보 챙겨갖고 신작로까지 나갔던'('통화'중) 기억처럼 44편의 글 대부분은 누구나 한번쯤 경험해 봤음 직한,그래서 공유할 수 있는 일상의 친근한 소재들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책 속의 이야기들이 결코 가벼운 웃음만을 주는 것은 아니다.
곳곳에서 배어나오는 인간 존재의 쓸쓸함은 '나는 때로 고아처럼 느껴져요'('나 여기 있어요'중)라는 한마디에서 알 수 있듯 책을 읽는 내내 긴 여운을 드리우기도 한다.
그러나 '풍금이 있던 자리''깊은 슬픔''기차는 7시에 떠나네' 등 신경숙 특유의 색깔이 살아 있는 작품에 익숙한 독자라면 평범한 콩트를 연상시키는 평이한 스타일에 다소 실망감을 느낄 수도 있을 듯 싶다.
김재창 기자 char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