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사업자 및 민간기업이 2015년까지 4천115만kW의 발전소를 건설할 의향을 갖고 있고 이 가운데 3천274만kW의 건설이 확정적이다. 특히 SK전력, LG에너지, 대우건설, 대림산업 등이 발전사업에 대거 참여한다. 또 전체 설비에서 원자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27.0%에서 2015년에는 34.6%로 커지면서 실제 전체 발전량 가운데 원자력 비중은 절반에 육박할 전망이다. 산업자원부는 발전사업자 및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발전설비 건설의향조사를 거쳐 마련한 '제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16일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전력산업 구조개편 이후 처음 나온 것으로, 2015년까지의 전력수요가 연 평균 3.3% 증가하는 가운데 2007년에는 2%대, 2014년부터는 1%대 증가율로 떨어질 것으로 분석한 전망치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산자부는 의향조사에서 현재 짓고 있는 42기 2천102만kW를 포함해 향후 15년간 97기 4천115만kW의 발전소를 건설, 가동할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자 이 가운데 향후 2년안에 허가가 예상되고 계통연계 검토가 끝난 71기 3천274만kW를 '확정적 설비'로 분류했다. 구체적으로 한국수력원자력은 1천360만kW의 추가 용량을 확보, 2015년에는 현재 가동중인 것을 포함해 모두 2천664만kW의 원자력발전설비를 갖추게 된다. 민간기업의 경우 ▲SK전력 94만7천kW(광양복합 1-2호기) ▲LG에너지 45만kW(부곡복합 2호기) ▲대우건설 90만kW(안정복합 1-2호기) ▲대림산업 180만kW(송도복합1-4호기) ▲한화종합에너지 15만kW(한화복합4호기) ▲미란트 47만2천kW(율촌복합) 등 모두 480여만kW 용량의 설비가 확정적 설비에 포함됐다. 또 의향을 밝혔지만 확정적 설비에서 제외된 용량도 LG에너지가 180만kW, 대우건설 90만kW, 대림산업 90만kW 등이며, 수자원공사의 경우 시화호에 26만kW급 조력발전소를 짓겠다는 의사를 표시했다. 산자부는 확정적 설비를 기준으로 발전설비 용량은 지난해말 5천86만kW에서 2015년에는 7천702만KW까지 늘어나면서 설비예비율은 2004년까지 13.7-15.1%, 2005년부터 2015년까지는 13.7-25.3%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발전원별 비중은 원자력이 지난해말 27.0%에서 2015년 34.6%로 높아지는 반면 석탄(30.5→28.8%), LNG(25.3→25.4%), 석유(9.6→2.9%), 수력(7.6→8.3%) 등의 경우 비슷하거나 낮아지면서 원자력 의존도가 심화될 것으로 분석됐다. 산자부는 이런 전력수요 증가와 발전소 건설에 따라 송전선로 길이도 지난해 2조5천583만km에서 2015년에는 3조5천439만km로 늘리고 변전소도 472곳에서 769곳으로 확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자부는 발전소의 적기 준공을 위해 한국수력원자력과 발전자회사 등 공기업형태의 기업과는 건설의무이행협약을 체결하는 한편 사안에 따라 투자비를 장기저리로 융자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또 수용가와의 약정을 통해 최대전력수요가 발생할 경우 통신인프라를 통해 고객의 사용량을 제한하는 수요관리를 확대, 2015년까지 1천31만kW의 최대수요를 줄일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서울=연합뉴스) 정준영기자 princ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