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투데이] 고조되는 자본주의 위기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경제의 요즘 모습을 보면 '자본론'의 저자 카를 마르크스가 계급투쟁을 거론하며 예언한 '자본주의의 위기'를 감지할 수 있다.
최근의 악화되고 있는 경제지표와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의 비리로 점철된 모습에서 이를 엿보게 된다.
마르크스가 유토피아 건설을 내세우며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 사회주의 국가는 대부분 부패한 전제국가로 전락했다.
하지만 자본주의에 대한 마르크스의 통찰은 아직도 빛을 발하고 있다.
'자본주의의 거품과 붕괴 뒤에 계급투쟁이 있다'는 마르크스의 지적은 옳은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서는 증시거품이 꺼진 뒤 계급간 보이지 않는 갈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물론 최근의 계급간 갈등은 마르크스가 해석했던 계급투쟁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마르크스는 노동자와 자본가간의 갈등에 초점을 맞췄다.
이에 비해 미국내 계급간 알력은 중산층으로 통하는 부르주아(유산계급) 내부에서 확대되는 양상이다.
미 증시의 거품이 형성되고 붕괴되는 과정에서 봉이 돼버린 투자자 계층(Sucker class)과 CEO 계층(CEOcracy)간에 갈등이 생기고 있는 것이다.
마르크스가 지적했던 19세기 자본주의의 문제들이 오늘날 대부분 재현되고 있는 점도 주목된다.
지난 20년동안 미 사회의 빈부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것이 대표적 사례다.
1981년까지만 해도 소득 상위 1%에 속하는 계층이 미국 부(총자산)의 25%를 차지했다.
그러나 90년대 후반들어 이 비율은 38%까지 높아졌다.
게다가 자본주의의 최대위기로 불렸던 1920년대말 경제대공황과 요즘의 미 증시를 비교하면 쏙 빼닮았다.
대공황이 절정에 달했던 1929년부터 3년 동안 다우존스 지수는 89% 폭락했다.
1990년대 들어 천정부지로 치솟던 뉴욕증시는 2000년 3월을 고점으로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최근 3년간 26% 곤두박질쳤다.
애널리스트들의 대응도 비슷하다.
1920년대 애널리스트들은 미국 경제에 대한 확신을 바탕으로 강력매수 추천을 냈었다.
역시 2000년 3월 이전 애널리스트들은 다우존스 지수가 36,000을 쉽게 넘을 것이라고 장담했다.
그러나 다우존스 지수는 이달 현재 9,000선도 돌파하지 못한채 약세장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90년대 후반 미 경제의 보이지 않는 동력원이었던 미 저축률은 1980년대 중반 국민순생산(NNP)대비 9∼12%에서 현재는 4% 이하로 떨어진 상태다.
마르크스식 자본주의 위기론을 논하기에는 시기가 이르다는 반박이 나올 수도 있다.
미 증시가 최근 회복조짐을 보이고 있고 대공황 때와 달리 인플레의 위험으로부터도 비교적 자유롭다는 점 때문이다.
지난 80년대 일본이 장기불황에 진입할 때와도 상황이 다르다.
일본 은행들에 비해 미 은행권은 악성부채가 적다.
미국 자본주의의 위기는 경제보다 사회구조적인 측면이 강하다.
CEO계층에 당한 투자자 계층의 반격은 자본주의를 옥죄는 결과를 낳을수도 있는 것이다.
정리=오광진 기자 kjoh@hankyung.com
------------------------------------------------------------------------------
◇이 글은 니얼 퍼거슨 영국 옥스퍼드대학 정치경제학 교수가 파이낸셜타임스 최신호에 기고한 'Full Marx'를 정리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