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대환(張大煥) 국무총리 지명자에 대한 임명동의안이 연말 대선을 앞두고 갈수록 거칠게 대치하고 있는 정치권의 '화약고'로 떠오르고 있다. 각당은 26일부터 이틀간 인사청문회를 실시한뒤 여론의 추이를 감안해 28일 임명동의안 처리 전략을 결정할 것으로 보이지만 연말 대선은 물론 내달 1일부터 시작될 정기국회 전략과 맞물려 고도의 정치적 계산을 하고 있다. 장 총리 임명동의안은 우선 28일 본회의에 보고될 김정길(金正吉) 법무장관 해임건의안 처리 문제와 겹치면서 처리 결과가 정국을 파란으로 몰고 갈 수도 있는게사실이다. 장 지명자에 대한 임명동의안이 부결될 경우 당장 인사권자인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은 리더십에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이 자명하다. 집권초 김종필(金鍾泌) 총리 인준 당시 부터 `인사'에 관한한 가시밭길을 걸어온 김 대통령으로선 총리직 장기공백에 따른 부담을 고스란히 안고가야 할 처지가된다. 원내 제2당이긴 하지만 `정책여당'을 표방하고 있는 민주당 역시 당 지도부의지도력 부재를 확인시켜 줌으로써 내홍의 불씨를 안게 되는 동시에 정국의 주도권도상당부분 상실할 수 있다. 이달초 장 상(張 裳) 총리 지명자 인준부결 사태는 민주당내 신당창당 논의를가속화하는 외생변수로 기능했으나 이번에는 그런 영향도 없을 것이란게 대체적 관측이다. 민주당의 한 당직자는 "이미 당내에 팽배한 무기력증과 각 계파간 갈등이 감출것 없이 드러난 상태여서 인준안이 계파 갈등을 악화시켜 신당 논의를 촉발시키는요인이 되지는 못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당 지도부로선 해외 신용평가기관들이 한국의 국가신인도를 상향조정할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터에 국정의 중심을 잡기 위한 정치력을 발휘하지 못했다는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될 것으로 보인다. 원내 제1당인 한나라당의 입장에선 `과반수의 힘'을 유감없이 발휘, 확고한 원내위상을 과시한다는 순기능적 측면이 있으나 결과적으로 `거야(巨野)의 오만'이라는 눈총을 받을 수도 있는게 사실이다. 특히 연말 대선을 앞두고 이회창(李會昌) 대통령후보의 두 아들 병역비리 의혹수사에 대한 전략적 대처에 사활을 걸고 있는 한나라당으로선 당장 김정길 법무장관해임건의안 처리에 제동이 걸릴 수도 있다. 인준안 부결에 이어 해임안 처리까지 강행할 경우 `다수당의 횡포'라는 여론의반발에 직면해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인준안 부결로 정국이 급격히 경색된 상태에서 정기국회가 열려 국회가`대선 격전장'이 되고 이에 따른 정국혼란이 가중되면 한나라당이 져야 할 책임도 `원내 과반수' 만큼이나 커지게 된다. 이와 관련, 총리인준안 처리결과와 관계없이 대선을 앞둔 정치권은 이미 시위를떠난 화살 처럼 정면충돌을 향해 달리기 시작했다는 분석도 적지 않다. 정기국회가 열리면 민주당은 이회창 후보의 `5대 의혹'을 내세워 총공세를 펼칠게 분명하고, 한나라당도 민주당 이해찬(李海瓚) 의원의 `병풍 국회 쟁점화 유도'발언을 기화로 대대적 역공에 나설 것이 뻔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서울=연합뉴스) 이강원기자 gija007@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