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과 프랑스를 비롯한 대부분의 유로권 물가는 유로화 완전 통용을 계기로 특히 생필품을 중심으로 인상돼 역내 소비자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고 현지 소비자 단체들이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이탈리아와 그리스에서는 물가 상승에 항의하는 뜻에서 9월에 '소비자 파업'을 단행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유로국 정부와 유럽중앙은행(ECB)은 소비자 단체들이 물가 인상을 `과장'하고 있다면서 따라서 이같은 주장이 ' 신뢰할 수 없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프랑스 소비자 보호단체인 UFC는 장바구니 물가가 지난 3-6월 크게 뛰어 인플레율을 두 배로 높였다면서 "일부 품목의 경우 4월 이후 가격이 5% 상승했다"고 주장했다. UFC는 프랑스 전역의 1천40개 슈퍼마켓의 5만여 품목을 대상으로 조사한 내용을 27일(현지시간) 발표한다. UFC는 가정용품, 식음료, 드라이크리닝 및 자동차 오일교환과 같은 장바구니 물가를 주로 대상으로 조사했다면서 이같은 생필품 가격 인상이 독일, 그리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및 스페인에서도 비슷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프랑스 유통업계 관계자는 "장바구니 물가가 10% 올랐다는 주장을 있는 그대로 신뢰하는데는 한계가 있을지 모르나 향후 6개월간 물가가 더 뛸 것임을 예상할 수는 있다"고 말했다. 그는 UFC 조사가 유명 브랜드 제품과 서비스를 위주로 이뤄진 것이 라면서 따라서 소비자가 선호하는 싸구려 무명 제품까지 포함할 경우 인플레율은 더높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독일의 소비자 단체도 26일 지난 1월부터 유로화가 통용되기 시작한 후 장바구니 물가가 올랐다는 점을 당국이 부인하기 힘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독일 중앙은행인 분데스방크는 앞서 유로화 통용으로 물가가 0.5-0.9% 오르는 효과가 날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지난 7월 발표된 조사는 인상폭이 1.5%인 것으로 나왔다. 이밖에 네덜란드, 스페인 및 이탈리아 소비자 단체들도 유로화가 통용되기 시작한 후 생필품 물가가 앞서의 평균치를 상회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이탈리아의 몇몇 소비자보호 단체들은 오는 9월 12일 항의 표시로 '소비자 파업'을 단행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리스에서도 내달 3일 소비자 단체들이 유사한 방법으로 실력 행사할 조짐이다. 그러나 ECB는 역내 소비자 단체들의 이런 주장이 "신뢰할 수 없는 수치에 근거하고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ECB 소식통이 전했다. 또 프랑스의 르노 뒤트레이 중소기업무역차관은 "일부 (생필품) 물가가 올랐다는 점은 인정할 수 있으나 이것이 유로화 통용 때문이라는 주장은 일방적인 것"이라고 항변했다 (파리 AFP=연합뉴스) jksu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