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토지시장 '꿈틀꿈틀' .. 남북경협.군사보호구역 해제등 호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달 이후 남북경제협력,군사시설보호구역 해제,신도시 개발 등 대형호재들이 잇따라 발표되면서 수도권 토지시장이 심상치 않은 조짐을 보이고 있다.
5일 부동산업계와 현지 부동산중개업소에 따르면 최근 개발대상 지역에 대한 투자자들의 문의와 방문이 부쩍 늘고 있다.
이들 지역의 땅값도 팔려고 내놓은 물건을 중심으로 강세를 띠고 있다.
현지에서는 아직 매물회수 및 매도호가 급등과 같은 투기 조짐은 보이지 않지만 쏟아진 대형호재들로 인해 땅값 급상승의 가능성이 매우 높게 점쳐지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시중자금이 풍부한 데다 땅값 상승을 부추길 수 있는 재료들이 많아 수도권 토지시장이 불안한 상태"라며 "투기적인 수요를 막기 위한 정부의 적절한 사전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시장동향=남북경협과 군사시설보호구역 해제로 가장 큰 혜택을 보게 되는 지역은 휴전선과 인접해 있는 경기도 파주 고양 김포 연천 철원 등 접경지역이다.
현지 부동산업소와 주민들은 "그동안 건물 신·증축에 제약을 받는 등 재산권행사를 제대로 못했다며 이번 정부 조치로 본격적인 개발이 가능해지고 땅값도 제 가격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김포시 풍무동 두원공인 박용철씨는 "김포시 고촌면의 경우 70%가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묶여 있는 등 대부분 지역이 건축 및 고도제한 등의 규제를 받고 있다"면서 "최근 정부규제가 풀릴 것이란 소문이 돌면서 외지인의 투자문의도 눈에 띄게 늘었다"고 말했다.
그는 "고촌면의 경우 대로변에 접한 준농림지가 평당 1백만원,안쪽은 평당 50만원으로 땅값이 지난 1년 동안 30% 이상 올랐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교하 택지개발사업이 진행 중인 파주시 일대도 땅값이 강세를 띠고 있다.
교하지구 주변인 목동리와 동패리의 경우 대로변 준농림지가 평당 1백만원 이상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교하면 미래도시공인 이창용씨는 "지난해부터 거래가 꾸준히 이뤄지며 땅값이 평균 20∼30% 상승했다"며 "앞으로는 군사시설보호구역에서 풀리는 지역의 땅값도 개발이 가능한 곳을 중심으로 오름세를 탈 것"으로 내다봤다.
강남을 대체할 신도시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는 지역들도 벌써부터 투자 문의전화가 쇄도하는 등 가격이 뛸 조짐을 보이고 있다.
가장 유력한 신도시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는 광명역세권(광명 안산 시흥시 접경지역)의 경우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일제히 손바뀜이 일어나면서 현재는 땅값이 연초대비 40∼50% 정도 오른 상황이다.
입지에 따라 평당 60만∼1백50만원 정도에 시세가 형성돼 있으며 당장 개발이 가능한 A급 나대지의 경우 6백만∼7백만원까지 호가한다.
"올해 초부터 광명역세권 개발 소문이 흘러나오면서 매물이 쏙 들어갔으며 현재는 물건을 구하기가 쉽지 않다"는 게 이곳 로마공인 관계자의 설명이다.
경제특구로 지정된 김포매립지 배후지역인 인천광역시 서구 검단동과 김포시 풍무동 일대 역시 초강세다.
구획정리가 마무리 돼 매입 즉시 개발가능한 지역은 평당 3백만∼4백만원을 호가하고 있다.
인천광역시 금곡동에서 영업 중인 한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2∼4년 정도의 장기투자를 목적으로 방문한 투자자에게는 평당 값이 25만∼1백50만원 정도인 토지를 추천하고 있다"며 "작년 말부터 올해 초까지 거래가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값이 30∼40% 정도 뛴 이후 최근에는 매물이 잘 나오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매입 즉시 개발이 가능한 땅의 경우 평당 1천만원까지 값이 오를 것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고 덧붙였다.
◆향후 전망=전문가들은 이들 지역의 땅값이 장기적으로는 고른 상승세를 나타내겠지만 단기간적으로는 개발 가능한 지역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군사시설 보호구역 해제와 남북경협의 수혜를 함께 받게 되는 지역들은 큰 폭으로 오를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정부도 이같은 점들을 감안해 이상징후가 포착될 경우 해당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이나 토지거래동향 감시구역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건교부 이재영 토지관리과장은 "토지시장이 과열되기 전에 적절한 대응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대형·송종현 기자 yoo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