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올 3분기 실적에 대한 각 증권사의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기대 이상의 실적을 거둘 것(대신 동원)이라는 추정이 나오는 반면 큰 기대를 하기 어렵다(현대 굿모닝신한)는 신중론도 제기됐다. 이에 따라 증권사의 투자의견도 적극 매수에서 시장수익률 상회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오고 있다. 대신경제연구소는 5일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이 전분기보다 7.1% 증가한 2조원을 넘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는 국내외 증권사 예상치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TFT-LCD(초박막 액정표시장치),가전부문의 실적부진에도 불구하고 이동통신단말기와 플래시메모리부문의 호조로 이같은 실적 달성이 가능하다고 대신경제연구소는 설명했다. 진영훈 선임연구원은 "D램 가격 하락으로 인한 실적악화 우려는 과장된 것으로 보인다"며 "DDR와 SD램 현물가격은 6월말부터 7월초를 바닥으로 점진적인 상승세를 타고 있다"고 말했다. 동원증권도 정보기술(IT) 경기회복 지연에 따른 D램,LCD패널의 가격하락에도 불구하고 삼성전자가 올 하반기 사상 최대의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내다보고 투자의견 '적극 매수'와 목표주가 53만원을 유지했다. 동원증권 김성인 수석연구원은 "메모리 반도체부문에서 원가절감과 고부가 제품의 비중 확대 등으로 매출이 늘어나고 휴대폰 수출이 호조를 보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LG투자증권 박영주 책임연구원은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은 보수적으로 잡을 경우 2분기보다 4백억원 정도 적은 1조8천3백억원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반면 현대증권 우동제 전자·반도체팀장은 삼성전자의 반도체 고정거래가격 인상시기와 싱크로노스 D램 가격의 약세 등을 볼때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대하기는 힘들다는 견해를 밝혔다. 그는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1조7천억원과 1조6천억원으로 2분기 실적을 밑돌 것으로 전망했다. 우 팀장은 "최근 강보합세를 보이는 반도체 DDR 현물가격이 삼성전자의 실적에 반영되려면 9월 고정거래가격이 올라가야 하는데 거래업체의 반발 등으로 이 시점이 4분기로 넘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굿모닝신한증권 김장열 수석연구원도 IT경기의 회복지연으로 D램이 공급과잉 국면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며 시장수익률 상회의 투자의견을 제시했다. 조주현 기자 forest@hankyung.com